농협이 유휴지와 간척지 등을 활용한 친환경축산단지 조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구제역 발생 이후 축산업의 이미지 악화와 축산업허가제, 가축사육 거리제한 등 갈수록 진입장벽이 높아지는 데 따른 것이다. 또 가축의 위생·안전은 물론 악성 가축질병 상시 발생에 따른 차단방역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 우선 지역축협 조합장을 대상으로 친환경축산단지 조성에 대한 설명회를 갖고 이달 말까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수요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농협이 계획중인 친환경축산단지는 간척지·유휴지 또는 도심과 격리된 땅을 대상으로 삼아 해당 지자체와 공영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친환경축산단지에 들어설 공동시설로는 방역시설·분뇨처리시설·사료하치장·조사료 재배시설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주 대상은 시·군에 흩어져 있으면서 방역시설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해 단지 입주를 희망하는 축산농가이다.
권영웅 농협 축산경영부장은 “지자체별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부에 친환경축산단지 조성을 정책사업으로 정식 건의할 계획”이라면서 “중앙회 차원에서 예비조사를 한 결과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일부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축산단지 조성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