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내재해형 하우스 늘릴 방안 없나 글의 상세내용
제목 내재해형 하우스 늘릴 방안 없나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04-27 조회 1008
첨부  

내재해형 하우스 늘릴 방안 없나


보급률 고작 1.2%…높은 비용 걸림돌



포토뉴스

매년 강풍·폭설·태풍으로 인해 비닐하우스 피해가 되풀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내재해형 하우스 보급을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4월 초 때아닌 강풍으로 인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우스가 휘어지고 피복비닐이 찢어지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내재해형이 아닌 비규격 시설하우스는 정부의 재해 복구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보상을 받을 수 없다(본지 4월23일자 5면 참조).



 다만 2007년 이전에 보급한 표준화하우스는 2016년까지만 한시적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년 강풍·폭설·태풍으로 인해 비닐하우스 피해가 되풀이되는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해 내재해형 하우스 보급을 늘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재해형 하우스는 정부가 30년 빈도를 고려해 지역별 적설량·풍속을 정하고 이를 버틸 수 있도록 강도를 높여 재해에 안전하도록 설계한 시설을 말한다. 2007년부터 원예특작시설(비닐하우스·버섯재배사·인삼시설)에 보급하고 있으며 현재 자동화·단동·연동 등 종류별로 48종(민간 10종 포함)이 개발돼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시설원예 면적 약 5만3,000여㏊ 가운데 내재해형 하우스 보급면적은 1.2% 수준인 622㏊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내재해형 하우스 보급면적이 극도로 저조한 것은 비닐하우스 교체주기와 비용문제가 주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보통 비닐하우스의 경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파이프는 10년 이상, 비닐은 5년 정도를 사용한다. 사용기간이 길다 보니 아직 본격적인 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응호 시설원예시험장 시설구조팀장은 “기존 시설을 뜯어내고 새롭게 설치하지 않는 이상 내재해형 하우스가 급격히 늘어나기는 쉽지 않다”며 “농가들도 필요성을 인정하는 만큼 서서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또 하나는 비용문제다. 시설의 강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 등 각종 자재의 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일례로 내재해형인 아치연동형 비닐하우스(폭 7m×3연동, 측고 2.8m, 동고 4.7m, 길이 50m)와 난방시설 등 부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시방서상 비용이 9,100만원에 달한다.



 전북의 한 지역농협 자재담당자는 “지역내 농가들의 경우 2007년 폭설 피해 때 내재해형 하우스로 대부분 바꿨다”면서 “그러나 일반하우스보다 평균 50~100% 비용이 더 들어가는 점을 고려해 보면 자부담만으로 새롭게 설치할 수 있는 농가는 거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물론 정부의 고추비가림시설 지원사업이나 지방자치단체의 하우스현대화사업을 통해 일부 보조·융자가 이뤄지고 있지만 보급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공통된 견해다.



 이와 관련, 한 시설원예 전문가는 “기상이변에 대응해 내재해형 하우스 설치를 촉진할 수 있도록 신규 설치농가에 대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는 등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기존 비닐하우스의 시설을 보강하는 방법을 개발해 보급하고, 가격이 싸면서 내구성을 갖춘 자재 개발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