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양파 11만t 할당관세 수입 철회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양파 11만t 할당관세 수입 철회를”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07-11 조회 1320
첨부  

“양파 11만t 할당관세 수입 철회를”


양파·마늘 농가, 12일 항의집회



포토뉴스

정부가 양파 수확작업이 끝나기 무섭게 물량부족을 이유로 대량수입 방침을 밝히자 농가들이 항의집회를 예고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최근 양파 주산지인 전남 무안지역의 한 양파 선별장에서 저장을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



 전국의 양파·마늘 재배농가들이 12일 집회를 예고하며 정부의 양파 대량 수입방침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올해 양파 11만1,000t을 할당관세(10%)로 수입해 공급부족을 해소하겠다는 정부 방침은 농가 사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처사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농가들이 집회를 예고하며 양파 수입중단을 촉구하고 나선 것은 농산물을 더 이상 물가조절의 희생양으로 삼지 말라는 적극적인 항의 표시로 풀이된다.



 



 ◆항의집회 배경은=현재 대부분의 양파는 수확이 끝나고 농가 손을 떠난 상태다. 양파 주산지에서는 농협과 유통상인들의 선별 및 창고 저장작업이 한창이다. 하지만 이를 지켜보는 농가나 양파를 사들인 주산지 농협·수집상인 모두 마음이 편치 않다. 정부의 양파 대량 수입 방침 발표로 하반기 양파가격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저장에 들어가는 양파는 내년 4월경 햇양파가 나오기 전까지 꾸준히 시장에 풀린다. 그런데 정부가 양파 수확작업이 끝나기 무섭게 물량부족을 이유로 대량 수입 방침을 밝혀 시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것.



더구나 주산지 농협과 수집상인들은 올해 작황부진으로 양파를 지난해보다 20% 이상 높은 가격에 사들였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할당관세 물량을 시중에 싼값에 방출할 경우 농협 등의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깊다. 특히 내년에도 의무수입 물량 2만1,000t을 4월까지 조기 수입하기로 해 내년 햇양파 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다. 상호 대체관계에 있는 마늘재배 농가들도 양파를 대량 수입하면 마늘가격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양파농가와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농가 요구사항은=우선 정부가 최근 발표한 양파 11만1,000t의 할당관세 수입을 철회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 양파 수확은 끝났지만 수입에 따른 피해가 내년에 고스란히 농가에 전가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상인들의 경우 피해가 클 경우 이듬해에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농가 매입가격을 최대한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올해 작황부진으로 수확량이 크게 줄어 수입이 예년만 못한 데다 수입에 따른 피해까지 덮어쓸 경우 농가가 이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전남 무안에서 양파 3만9,600㎡(약 1만평)를 재배하는 나광운씨(59·해제면 송석리)는 “농협은 물론이고 산지 유통상인들도 우리가 생산한 양파를 매입해 주는 측면에서 동반자일 수밖에 없다”면서 “농가나 상인 모두 일정 수준의 손익은 불가피하겠지만, 어느 일방의 지나친 손해는 서로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 양파수입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일선 유통상인들도 정부에 수입물량을 최소화하고, 양파 수매 및 유통원가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작황부진으로 불가피하게 양파를 수입하더라도 수급전망을 정확히 하고, 수입물량도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다. 전남 해남ㆍ무안지역의 한 양파수집상인은 “정부가 연간 양파 소요 물량을 실제보다 지나치게 높게 책정했고, 그래서 수입물량도 필요 이상으로 많이 잡고 있다”면서 “지난해에도 양파를 사들인 다음 판매시기에 가격이 떨어져 큰 손해를 봤는데 올해 또다시 지난해 재판이 될까 두렵다”며 정부에 수입 최소화를 요구했다.



 김옥길 전남서남부채소농협 상무는 “전남 무안·경남 창녕 등 양파 주산지는 양파가 한해 농사를 좌우하고, 농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올해 생산량 감소로 수입도 덩달아 줄어 분위기가 침울하다”면서 “정부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 입장도 똑같이 고려해 수급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