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우 송아지(젖소 수송아지)도 송아지 생산안정제 사업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한우 송아지 평균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떨어질 경우 그 차액을 보전해 번식농가의 송아지 재생산 및 적정 사육마릿수 유지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중인 ‘한우 송아지 생산안정제 사업’에 육우를 포함시켜 산유농가 및 육우농가의 경영안정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장은 지난해 12월 육우 송아지 가격이 폭락하면서 송아지 거래가 실종되고 낙농가의 수송아지 처리 문제가 사회적 문제가 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주장이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배정식 부장은 “육우의 경우 한우나 수입쇠고기 시장동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임에도 아무런 보호장치가 없다”며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와 쇠고기 수입 확대 등으로 육우 송아지시장은 항상 위험요소를 안고 있고, 특히 젖소 수송아지의 경우 육우가격이 폭락하면 아예 거래조차 안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5년간 육우 송아지 가격은 쇠고기 수입이 본격적으로 늘면서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초유떼기를 기준으로 2007년 47만5,000원이던 젖소 수송아지 가격은 2010년 말 24만9,000원, 2012년 8월 상순에는 4만4,000원까지 폭락했다.
조주현 농협 축산경영부 차장은 “낙농의 경우 착유소가 송아지를 생산해야 원유를 생산해 일정 규모의 목장을 유지하기 위해 육우 생산이나 판매가 불가피하다”면서 “한우 사육마릿수나 쇠고기 수입량이 증가해 전반적으로 쇠고기 가격이 하락하면 낙농가들은 육우 송아지 판매에 곤란을 겪어 송아지 처리 문제나 동물복지 문제가 언제든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경기 포천의 한 낙농가는 “육우 송아지 생산안정제가 시행될 경우 생산비를 낮춰줘 결과적으로 원유 가격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육우 사육농가의 경영 안정에도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축산학계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쇠고기 수입 자유화가 육우산업에 미칠 타격에 대처하기 위해 송아지생산 안정사업에 화우와 젖소(육우)를 포함시켜 실시하고 있고, 그 결과 젖소(육우)가 실질적인 혜택을 더 많이 받고 있다”면서 “원유 생산량이 기준원유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육우에도 송아지 생산안정제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출처: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