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후 모든 축종이 공급과잉에 따른 약세를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산지 축산농가의 효과적인 사육마릿수 관리와 함께 가격 지지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의견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2일 개최한 ‘2012 하반기 축산물 가격전망과 대응 정책 워크숍’에서 집중 제기됐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우병준 농경연 축산관측팀장은 “한우·돼지 등 전 축종이 공급과잉이어서 하반기 약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생산자단체별로 가임 암소·모돈·젖소·종오리 등의 적정 사육마릿수 유지를 위한 자구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우 팀장은 다만 “사육마릿수 조절과 함께 전 축종에 걸쳐 장기간 진행되는 각종 할인행사와 판촉활동의 효과가 하반기에 얼마나 소비확대로 이어지느냐가 관건”이라며 “장기화된 할인행사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둔화로 효과가 신통치 않을 경우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장기간 가격 하락에 따른 축산업 사육기반 붕괴를 막고, 농가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가 시의적절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장기선 전국한우협회 부장은 “암소도축 등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송아지가격 폭락과 사료가격 급등 등에 따라 한우 번식기반이 무너지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며 “시장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송아지 번식농가를 보호하기 위한 송아지생산안정제 사업이 상시 가동될 수 있도록 재검토하는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선현 대한한돈협회 전무는 “돼지가격 폭락이 이미 1년 전부터 예견됐는데도 정부가 무관세로 할당관세 물량을 대폭 늘리면서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며 “특히 지난해 구제역 이후 재입식한 농가의 경우 지육 1㎏당 생산비가 5,000원 정도임을 감안할 때 현재 4,000원 전후의 시세가 계속될 경우 조만간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전무는 또 “정부는 돼지고기 원산지표시 단속 강화와 함께 돼지고기 뒷다리(후지) 부위 일정량을 1㎏당 3,000원대에 매입해 6개월 동안 격리 보관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강구해야만 대폭락을 막을 수 있다”며 “사료구입자금 조기 집행, 사료안정기금 도입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영기 계란자조금관리위원장은 “한계농가들이 파산에 내몰리기 전에 폐업보상의 길을 열어 줘 전업할 수 있는 길을 터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