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채소류값, 물량 많고 소비 뒷받침 안돼 약세 글의 상세내용
제목 채소류값, 물량 많고 소비 뒷받침 안돼 약세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10-15 조회 1520
첨부  

채소류값, 물량 많고 소비 뒷받침 안돼 약세


 


 최근 기온 하락과 함께 채소류 가격이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 추석 이후 소비심리가 약해진 데다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채소류 작황도 부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적상추는 지난 12일 가락시장에서 4㎏ 상품 한상자가 9,300원 선에 거래됐다. 추석을 앞두고 6만6,000원까지 가격이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20%에도 못 미치는 가격이다. 게다가 최근 경기 이천·광주·여주와 충남 논산 등 중부권의 출하량이 늘고 있어 상추 가격은 당분간 약세장이 이어질 전망이다.



 깻잎도 100속당 3만8,000원대까지 거래되던 것이 최근에는 1만4,000~1만7,000원대로 하락했다. 현재 주요 출하처인 충남 금산지역의 작황이 기온하락으로 안 좋아지고 있어 앞으로의 가격 전망도 어두운 편이다.



 풋고추는 9월 말 10㎏ 상품 한상자가 7만원대를 넘어섰지만 12일에는 평균가격이 2만7,000원대를 기록했다. 강원과 전남지역에서 출하되는데 재고가 많아 시세 형성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들 품목 외에 오이·호박·가지 등 과채류 품목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백다다기>오이는 상품 100개가 추석 전 5만원대에서 최근에는 2만4,000원대까지 가격이 하락했고, <쥬키니>호박도 한때 3만5,000원까지 경락가가 나왔지만 최근에는 1만원대 이하에 머물고 있다.



 다만 채소류 가운데 김장용 무·배추는 강원 고랭지 산지의 작황 부진으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감소한 가운데, 김치공장 등 대량 구매처의 수요가 꾸준해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다.



 손호길 농협가락공판장 경매팀장은“앞으로 2주 정도는 별다른 반등 없이 채소류 가격이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