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댁의 계량기 안녕하십니까? 글의 상세내용
제목 댁의 계량기 안녕하십니까?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12-12 조회 2189
첨부  

댁의 계량기 안녕하십니까?


<수도관 등 겨울철 동파 예방법>

계량기 안쪽 헝겊 등으로 채우고

비닐로 외부 덮어 테이프로 마감

수도꼭지, 수도관 보온재로 감싸고집 오래 비울땐 물 약하게 틀어둬야



포토뉴스

 꽁꽁 언 계량기를 녹이느라 한데 서서 떨어 본 이들, 얼어터진 수도관을 바꾸느라 며칠씩 공사 치러 본 이들이라면 뼈저리게 공감할 것이다. 겨울날 찬물도 맘 편히 못 쓰는 설움이 얼마나 큰지. 더 추워지기 전에 점검해 보자. 우리 집 계량기와 수도관, 세탁기와 화장실은 안녕하신지.



 ◆계량기·수도관, 보온재로 감싸야=“예년보다 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수도시설물 동파 신고가 크게 늘었다”는 게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의 말이다. 오래된 복도식 아파트처럼 수도계량기가 외부에 노출돼 있는데도 적절한 동파 방지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계량기 동파를 막기 위해서는 보호통 안쪽을 헝겊이나 인조솜으로 채운 다음 외부를 비닐로 덮고 테이프로 마감한다. 옥상 물통탱크나 옥외 화장실의 수도관은 배관용 스티로폼 보온재로 감싸준다. 마당의 수도꼭지 역시 노출된 수도관을 보온재로 감싼 다음 앞꼭지는 항상 열어 놓고 뒤꼭지를 사용한다. 한파가 이어지거나 집을 오래 비울 때는 물을 약하게 틀어 둔다.



 계량기나 수도관이 얼었을 땐 드라이어의 온풍이나 따뜻한 물로 천천히 녹인다. 계량기가 얼어서 유리가 깨졌을 땐 각 지자체 수도시설과에 수리를 요청하면 된다.



 ◆세탁기, 내부의 물 빼야 안 얼어=겨울철 세탁기 동결을 방지하려면 세탁 후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빼내야 한다.



 LG전자 서비스센터에 따르면 일반 자동세탁기의 경우 수도꼭지를 잠근 다음 급수호스를 분리해 안에 고인 물을 빼고, 아래쪽 배수호스를 아래로 늘어뜨려 물이 완전히 흘러나오게 하면 된다.



 드럼세탁기는 제품 하단의 서비스커버를 열고 잔수 제거 호스를 꺼내 남은 물을 완전히 배출한다. 한파가 지속되면 급수관과 배수관을 보온재로 감싸고, 세탁기 측면이나 후면에 스티로폼이나 종이상자를 세워 외벽의 냉기를 막는 것이 좋다.



 세탁기가 얼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세탁물을 꺼내고 따뜻한 물을 채운 다음 뚜껑을 닫고 1~2시간 정도 내부를 데운다. 그동안 수도꼭지에 50℃의 더운 물을 붓고 급수호스를 분리한 다음 호스를 더운 물에 담가 둔다. 이후 다시 호스를 연결해 작동하면 배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추운 화장실, 황소바람부터 막자=단독주택이라면 겨울철 화장실 동파도 큰 걱정거리다. 동파 예방은 물론이고 쾌적한 사용을 위해서도 처음부터 난방배관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전기 라디에이터나 온풍기 등의 보조 난방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동일 행인흙건축 대표는 “화장실은 수도관이든 난방배관이든 터졌다 하면 공사가 커진다”면서 “동파가 우려되는 경우 물을 약하게 틀어 놓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더 급선무는 창틈으로 들어오는 황소바람을 막는 것. 창문 위에 두꺼운 비닐을 덧대고 창틀을 보온재로 마감해 냉기가 안으로 들지 않게 해야 한다.



 ◆동파방지열선, 사용시 주의해야=동파가 염려되는 배관에는 동파방지열선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동파방지열선은 납작한 띠 모양의 열선 끝에 전기 플러그가 달려 있는 제품인데, 철물점 등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겨울이면 찾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불량품을 쓰거나 너무 동여매면 합선이나 과열로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소방당국과 한국소비자원은 동파방지열선 사용 때 몇가지를 주의할 것을 당부한다. ▲구입할 때 안전성이 검증된 KC 마크 제품인지 확인하고 ▲과열 방지를 위해 여러 번 겹치지 말고 한번만 감아 쓰고 ▲열선을 감을 때 꺾이게 하거나 무리한 힘을 주지 말고 ▲열선을 감은 후 가연성 보온재를 덮지 말고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면 반드시 플러그를 뽑을 것 등이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