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서 장미를 재배하는 이창림씨(왼쪽)와 변유섭씨가 허탈한 표정으로 하우스에 설치한 보광등을 바라보고 있다.
경기 고양·파주 지역의 전조재배 화훼농가들은 11월1일부터 농사용 전기요금체계가 개편됨에 따라 당장 올겨울 과다한 전기요금이 부과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농사용 전기요금은 8월 전체적으로 3% 인상된 데 이어 11월1일부터 갑·을·병 3단계가 갑·을 2단계로 축소 개편되면서 기존의 을과 병이 을로 통합됐다.
그러나 바뀐 을에 기존의 을보다 비싼 병 요금이 적용되면서 기존의 을에 해당하던 전조재배·육묘 농가들의 전기요금이 급격하게 인상됐다.
이번 개편으로 이들 농가들의 기본요금은 ㎾당 930원에서 1,120원(고압)으로, 사용전력요금은 ㎾h당 26원30전에서 38원으로 각각 20.4%와 44.5%씩 올랐다.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기존의 을에 해당하는 농가는 전국에 3,000여곳 정도로 고양지역에 154농가, 파주지역에는 70여농가가 있다.
한전은 기존의 을에 해당하는 농가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13년 10월까지 전기요금의 25%, 2014년 10월까지 15%, 2015년 10월까지 5%의 할인율을 적용키로 했지만 2015년 11월 이후에는 할인 혜택이 없어져 급격한 요금 인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고양시 화훼농가들이 10농가를 대상으로 전기요금을 추정한 자료에 따르면 할인이 폐지되는 2015년이 되면 개편 전보다 평균 35% 인상된 요금을 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6,600㎡(2,000평)에 전조재배를 하는 육모씨의 경우 현재 연간 3,225만원의 전기료를 내고 있으나 2015년에는 4,515만원으로 늘어 1,290만원을 더 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화훼농가들은 “농림수산식품부의 보광등 보조지원사업으로 거액의 투자비를 들여 시설을 설치했는데, 정부가 전기요금을 인상해 농가들을 위협하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양·파주의 화훼농가들은 ‘농사용 전기요금체계 개편에 대한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이창림)’를 구성해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농식품부와 지식경제부·국회 등에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창림 위원장(고양시 덕양구 원흥동)은 “농사용 을 전기요금을 적용받는다며 전조시설 설치를 권장해 3,300㎡(1,000평)당 1억여원에 달하는 비용을 투자해 보광등을 설치했는데, 이제 와서 전기요금을 인상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항변했다.
이 위원장은 또 “전조재배는 겨울철 일조량 부족에 따른 노균과 습진 피해 등을 막아 화훼의 품질을 높여주는 데다 난방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데, 전기요금 인상으로 꽃의 품질 저하마저 우려된다”며 “요금체계 개편을 철회하지 않으면 요금 납부 거부 등 법적·물리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