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섯류 시설현대화를 지원, 품질을 고급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침체된 버섯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2013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는 버섯산업 육성을 위해 2013~2017년 5년간 매년 200억원씩 모두 1,000억원을 투융자하는 ‘버섯산업 시설현대화 지원계획’을 마련해 현재 국회에서 예산 및 사업규모를 협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가 버섯산업에 대한 중장기 투융자 계획을 마련한 것은 장기간 정부 지원 중단으로 버섯 재배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심화되면서 산업 전체가 침체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버섯과 약용작물 등 특작류 육성을 위해 1992~1999년 4,191개소에 모두 1,957억원을 투자했으나 2000년 이후 특작류에 대한 지원을 중단, 버섯류의 경우 현재 전체 4,045농가(임산버섯 제외)의 70%는 시설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져 성장세를 지속하던 해외수출이 최근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버섯산업이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다.
버섯류 수출실적은 2005년 503t(252만8,000달러)에서 2010년 2만1,178t(3,888만5,000달러)까지 확대됐으나 2011년에는 1만8,245t(3,811만2,000달러)으로 감소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버섯산업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내년부터 연간 200억원 규모의 투융자사업(국고 20%, 융자 30%, 지방비 30%, 자부담 20%)을 통해 종균배지생산시설과 첨단배지시설, 균상재배시설, 냉난방시설, 생육실, 자동화시설 등을 현대화·규모화·고급화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회 예산안 심의가 진행중이라 실제 확정 예산이나 사업규모는 달라질 수 있지만 국회에서도 버섯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 지원이 이뤄지면 버섯산업이 활력을 되찾아 수출주력 산업으로 재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