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품종 벼 <설레미>(사진)가 밥맛이 뛰어나고 수량과 도정률이 높아 농가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2011년 개발한 <설레미>가 열악한 기상 환경에서도 도열병과 수발아(아직 베지 않은 곡식의 이삭에서 낟알이 싹틈)가 발생하지 않고 수량이 높아 농가와 지자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설레미>는 <오대벼>에 비해 수량이 7%(10a당 560㎏) 정도 높아 1㏊당 소득이 80만원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도정률(77.5%)과 백미완전립률(97.7%)이 높으며 쌀알이 맑고 투명할 뿐만 아니라 밥맛도 뛰어나다. 농진청은 이에 따라 <설레미>를 전국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종자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강원 지역에서는 오랫동안 재배해 온 <오대벼>를 <설레미>로 대체하기 위해 시·군 농협미곡종합처리장(RPC) 및 개인도정업체 대표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
고성과 양양군에서는 올해 각각 사업비 1000만원을 들여 2㏊ 규모의 <설레미> 채종포(종자 채취 포장) 단지를 조성해 2014년부터는 공공비축미 수매품종을 <오대벼>에서 <설레미>로 대체할 계획이다.
출처 :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