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농업기술원은 복숭아 봉지 씌우기에 앞서 병해충 방제를 꼭 해줄 것을 재배농가에 당부했다.
충남도농업기술원(원장 김영수)은 복숭아 재배농가가 봉지를 씌우기 전에 복숭아순나방 약 살포 등 병해충 방제를 빠뜨리는 경우가 있다며 상품성 유지를 위해 사전 방제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도농기원에 따르면 복숭아는 5월 하순~6월 상순 봉지 씌우기를 하는데 이 시기에 방제를 소홀히 하면 검은별무늬병·세균성구멍병·복숭아순나방 등이 봉지 안에서 왕성하게 번식해 수확기에 큰 피해를 준다.
특히 복숭아순나방은 4월 하순~9월 상순 2~4차례 발생하는데 중·만생종에 더 피해를 주므로 주기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지난해 저온피해를 입은 복숭아나무는 열매솎기에도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도농기원 미래농업연구과 이지용 팀장은 “지난겨울 복숭아나무 가지에 일부 저온피해를 받은 <경봉> <엘바트> <천중도백도> <장호원황도> 등은 열매솎기할 때 과실 충실도를 살펴 철저히 따내야 나중에 정상적으로 자라고 품질도 높일 수 있다”고 충고했다.
이 팀장은 또 “열매에 봉지를 씌우는 이유는 병충해를 줄일 수 있고 과일 외관이 좋아지며 터짐열매(과실 쪼개짐)가 줄고 농약이 과실에 직접 닿지 않아 상품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