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섭 경남 김해 대동농협 팀장이 대규모 저온저장시설에 저장된 하우스당근을 가리키며 전력부족 사태로 가동이 중단될 경우 농산물 품질저하가 불가피하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김해=류수연 기자 capa74@nongmin.com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할 경우 생명을 다루는 축산업계가 우선 치명적 타격을 입는다. 전남 나주에서 산란계 10만마리를 기르는 김희식 벧엘농장 대표(공산면 가송리)는 “정전 때에는 환기장치가 닫혀 자가발전기가 가동되지 않으면 1시간 후 닭들이 질식하기 시작해 3시간이면 전멸한다”고 말했다.
축산농가들의 자가발전 시설 준비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실제 7일 충남도농업기술원이 ‘폭염시 정전 대비 자가발전기 설치 현황’을 잠정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양돈은 1305농가 중 63대(4.8%) ▲양계는 6237농가 중 71대(1.1%) ▲낙농은 1141농가 중 1대(0.1%)에 불과하다.
축산농가들은 “규모화된 무창돈사나 계사에 필요한 100㎾급 발전기(실질용량 50㎾) 한대와 자동조정장치 등을 설치하려면 모두 2500만원 정도가 필요하다”며 웬만한 농가는 비용 부담때문에 설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농산물 저온창고도 걱정되기는 마찬가지. 경남 김해 대동농협 김용섭 팀장은 “요즘 가장 많이 출하되는 당근은 저온저장고 문을 열지 않을 경우 최장 이틀까지 버틸 수 있지만 예비발전시설이 없어 창고 문을 연 다음 정전이 되면 물건을 모두 버리게 된다”고 말했다.
정전에 대비해 농민이 할 수 있는 방안이 제한적이라는 것도 문제다. 경북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대규모 정전 등에 대비해 전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농가는 비상용 자가발전기를 설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보조 환기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양돈농가 이규형씨(충남 논산시 노성면 구암리)는 “정부 등에서 자가발전기 구입비를 지원하거나 대규모 농가 밀집지역에는 공동 발전기를 설치하는 등의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