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경기 화성시 첫 도입 ‘농업인 월급제’ 시행 6개월 글의 상세내용
제목 경기 화성시 첫 도입 ‘농업인 월급제’ 시행 6개월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07-05 조회 1821
첨부  

경기 화성시 첫 도입 ‘농업인 월급제’ 시행 6개월


농가 “생활 안정에 큰 도움” 호응


 


포토뉴스

경기 화성시가 올해 첫 운영하는 농업인 월급제에 참여한 이성도·이상정씨 부부가 통장에 찍힌 월급명세를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6만6000㎡ 규모의 벼농사를 짓고 있는 이성도씨(65·경기 화성시 장안면 석포리)는 요즘 살맛이 난다. 1997년 귀농해 벼농사를 시작한 지 16년 만에 처음으로 매달 일정한 금액을 받게 됐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월급인 셈인데, 100만원씩 받는다고 한다. 이씨는 이 돈을 인건비나 생활비에 주로 쓴다. 이씨의 아내 이상정씨(58)는 “농번기엔 쓸 돈이 모자라 자주 빌리곤 했는데 올해는 그런 고민이 사라졌다. 적은 액수지만 다달이 일정금액이 통장에 들어오니 생활도 한결 안정을 찾게 됐다”며 활짝 웃었다.



 화성시가 1월 도입한 ‘농업인 월급제’가 시행 6개월을 넘기며 호응을 얻고 있다. ‘농업인 월급제’는 농협이나 민간 미곡종합처리장(RPC)에 출하 약정을 한 농업인들에게 1월부터 10월까지 일정금액(2013년 기준 100만원)을 지급하고, 농업인들은 RPC 수매 후 월급을 제한 나머지 액수를 받는 제도다. 벼재배 농업인들의 소득이 대부분 가을 수확기에 편중돼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화성시가 올해 전국 지자체로서는 처음으로 도입했다.



 신흥범 시 농정담당자는 “일종의 출하 선도금과 같은 성격이지만, 무이자이고 매월 일정액을 받을 수 있어 농업인들이 선호하고 있다”며 “특히 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굳이 대출을 받지 않고도 학자금 등을 낼 수 있어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시는 6월 초 그동안의 사업 평가와 내년도 사업계획을 위한 ‘농업인월급제 추진 실무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월급제 참여 농업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고 한다.



 월급제에 참여한 오기석씨(42·화성시 팔탄면 기천리)도 “살림을 보다 계획적이고 짜임새 있게 할 수 있어 정말 편리하다”며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니는 두 아이가 있는데 학비 부담도 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내년엔 월급제 참여 농가의 대상을 더욱 늘릴 계획이다. 벼농가를 포함해 농협을 통한 계통출하 농가 중 과실류·채소류·버섯·특용작물 등을 학교급식용으로 납품하는 농가나 로컬푸드 직매장을 통해 농산물을 판매하는 농가로 대상을 확대한다. 또 지급금액도 영농규모에 따라 30만원에서 최고 200만원까지 차등지급할 계획이다. 이는 예상소득의 최대 60%까지 월별로 나눠 지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농업인 월급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보완해야 할 점도 있다는 지적이다. 흉년이 들거나 실농할 경우 미리 받은 월급이 고스란히 빚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측은 상환유예 등을 통해 최대한 농업인들의 부담을 줄이겠다고 하지만, 실농한 농업인들에겐 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혜택을 보기 위해선 예산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화성시의 경우 올해 3억여원의 예산으로 운영했고, 내년엔 10억원으로 3배 정도 늘렸다. 소농이나 고령농가들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