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시설채소 후작 ‘참깨’ 병해충 급증 글의 상세내용
제목 시설채소 후작 ‘참깨’ 병해충 급증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07-23 조회 1190
첨부  

시설채소 후작 ‘참깨’ 병해충 급증


흰가루병 등 발생률 관행재배보다 4~7배 높아


포토뉴스

‘왕담배나방’ 피해를 입은 참깨.



 시설채소 재배 후 참깨를 이어지을 때 흰가루병과 왕담배나방·진딧물류 등의 병해충 발생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가의 주의가 요망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이 지난해 실시한 ‘시설채소재배 후작 참깨재배 시 병해충 발생특성’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설채소 후작으로 참깨를 재배하면 흰가루병 발생률이 67.1%에 달해 관행재배 때의 15.9%보다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왕담배나방 발생률도 48.7%로 관행재배 때의 7.3%에 비해 7배가량 높았고, 진딧물류 발생률도 47%로 관행재배 때의 7.4%보다 6.5배 정도 높았다.



 다만 역병 발생률은 3.4%로 관행재배 때보다 13%포인트 낮았고 잎마름병 발생률도 21.4%로 관행재배 때의 54.8%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참깨에 흰가루병이 발생하면 잎이 일찍 떨어지거나 생육이 불량하고, 진딧물류는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뿐만 아니라 참깨 열매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힌다.



 흰가루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재배환경이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잎이 너무 무성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또 병든 잎은 없애고 병 발생 초기에 <카벤다짐> <메타락실> 수화제 등 농약을 뿌리면 방제할 수 있다.



 진딧물류는 발생초기에 <델타메트린> 유제·<사이플루트린> 유제 등 농약을 뿌리고, 왕담배나방은 알에서 막 깨어난 어린 유충일 때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031-290-6790.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