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황=2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마늘 생산량은 36만8000t으로 추산된다. 33만9000t이었던 지난해보다는 8.6%, 평년(32만5000t)보다는 13.2% 증가한 것이다. 이형용 농경연 연구원은 “7월 말 통계청이 마늘 생산량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지만 이 추정치보다는 늘면 늘었지 줄어들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마늘 생산량이 늘어난 것은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올해 마늘 재배면적은 2만9352㏊로 추정된다. 지난해(2만8278㏊)보다는 3.8%, 평년(2만5975㏊)보다는 13% 증가했다(그래프 참조).
마늘 생산량이 수요량을 크게 초과할 것이라는 우려가 일면서 재배농가와 산지농협들은 공황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7월 중순 현재 난지형 마늘 중 <남도종>은 산지농협 수매가 대부분 끝난 상태. <남도종> 마늘을 주로 취급하는 제주지역의 경우 앞서 6월 중순 마늘 수매가격을 1㎏당 2700원 선에서 결정했고, 전남지역 농협들은 이보다 낮은 2300원 선에서 수매에 돌입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경남 창녕과 합천, 경북 영천지역 등 <대서종> 마늘 취급지역의 산지 거래가가 1700~1800원대에 머무르면서 깐마늘 가공업체들이 농협으로부터 수매를 꺼리고 있다.
이용민 제주농협지역본부 경제기획팀장은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 깐마늘 가공업체들이 농협으로부터 구매를 미루면서 산지농협들은 어쩔 수 없이 육지부의 저장창고를 빌려 저장에 들어갔고 이에 따른 손실 부담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의 농협 수매가와 <대서종> 마늘의 산지 거래가격만을 놓고 봤을 때, 동일 시점에서 지역에 따라 1㎏당 1000원에 가까운 가격차가 벌어지는 것이므로 앞서 수매를 완료한 산지농협들은 1t당 100만원, 1만t당 100억원을 앉은 자리에서 까먹고 있는 셈이다.
◆대책은=산지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지에서도 마늘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예년 같으면 늦어도 6월 말 지난해산 마늘 소비가 완료돼야 하지만 ㈜농협유통 등 일부 소비지 판매장에서는 지난해산 깐마늘이 7월 중순에도 계속해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와 올 상반기 대형마트의 의무휴업과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부진이 겹치면서 마늘 판매가 원활하지 못하면서다.
도매시장의 마늘 거래가격도 최근 석달 동안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 가락시장 등 주요 도매시장의 난지형 마늘(1㎏당) 거래가격은 5월 3795원→ 6월 3027원→7월 2748원 등으로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다. 특히 7월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평년보다 18% 낮은 것이다.
이에 산지에서는 정부 수매비축 물량을 3만t 이상으로 대폭 늘리고 이 물량에 대한 시장 격리를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
22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정부 수매비축에 참여하겠다고 신청한 물량은 5만3000t. 당초 정부가 발표한 계획물량(9200t)을 5배 이상 초과했다. 정부 수매가가 1㎏당 2300원으로 알려지면서 이보다 거래가격이 낮은 <대서종> 주산지 농가들의 신청이 크게 몰린 것이다. 강정준 한국마늘생산자협의회장은 “정부 수매 비축물량을 3만t 이상으로 크게 늘리고 수매 비축물량을 시장에서 격리 또는 폐기해 가격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감을 막아야만 깐마늘 가공업체들이 움직이고 산지의 가격 하락세가 멈출 것”이라고 말했다.
마늘의 소비 확대를 위한 특단의 대책도 강구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농경연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1인당 마늘 소비량은 2000년 10.6㎏에서 지난해 7.9㎏으로 10여년새 25%나 줄었다. 전문가들은 마늘이 음식 조리때 양념용으로만 소비되는 현실을 극복하지 않고서는 마늘 소비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상기 농협중앙회 산지유통부 차장은 “8월 말~9월 초 방영될 KBS의 <생로병사의 비밀>을 통해 마늘의 건강기능성을 알리는 한편, 3000만원의 마늘자조금을 투입해 <마늘 레시피북(요리책)>을 1만2000부 제작·배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승용 농경연 양념채소관측팀장은 “마늘은 장기적으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올해는 일시적인 재배면적 증가와 생산량 과잉으로 산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마늘의 생산기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농가 수취가격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