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급 경보가 하루가 멀다하고 발동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 분야에도 갑작스러운 정전에 대비한 위험관리체계가 구축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비닐하우스나 축사 냉난방 시설의 전기에너지 의존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력 부족마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업 분야 에너지 수급 안정을 위한 종합적인 위험관리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 에너지와 관련한 전체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상황별 에너지 수급 적정관리 매뉴얼을 작성하기로 했다. 또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인한 시설하우스·저온저장고·축사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기대응훈련도 실시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전기시설을 사용하는 농가에 자가발전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방안과 대규모 농가 밀집지역에 공동발전기 설치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자가발전기의 경우 필요성은 느끼지만 비싼 가격 등의 이유로 이를 설치한 농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농식품부가 이러한 위험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이유는 정전에 대한 농업인들의 위기의식이 너무 약하다는 판단에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력 부족 문제가 불거지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의 전력 공급은 상당히 안정적인 편이어서 대다수 농업인들이 ‘설마 정전이 발생하겠느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시설하우스·축사 등은 한번의 정전으로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전에 대한 대비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농업 분야 에너지 대책 전담팀(TF) 과제에 정전 대응책도 포함해 중장기적인 종합 위험관리 체계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