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일 발표한 마늘 수급안정대책을 놓고 산지가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7월31일 마늘수급 점검회의와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를 거쳐 이날 마늘 수매비축 물량을 기존 9200t에서 5800t 추가한 1만5000t으로 확대하고 모두 4만9000t을 시장에서 격리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생산농가와 산지농협들은 이 정도 추가 수매로는 마늘값 하락세를 잡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권문호 경북 영천 신녕농협 조합장은 “애초 36만8000t 정도만 생산돼도 정부 수매비축 물량을 4만t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하지만 실제 생산량이 관측치보다 무려 4만여t 늘었는데도 정부가 고작 5800t을 추가 수매하겠다고 하는 것은 산지와 생산농가를 전혀 고려치 않은 처사”라고 말했다.
강승태 제주 서귀포 대정농협 상무는 “마늘 생산 과잉이 올초부터 예견됐고 관측치와 통계치의 격차가 커 불신이 팽배해진 유례 없는 상황인 데도 정부가 소량만 수매비축한다는 대책을 내놓는 것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산지 마늘시세도 정부 발표와 거꾸로 가고 있다. 경남 창녕 이방농협 공판장의 경우 통계청이 마늘 생산량을 공식 발표하기 이전인 7월24일 1㎏당 1700~1800원 선이던 마늘 시세가 발표일인 25일 이후부터 하루가 다르게 급락, 2일 현재 1300원선까지 떨어졌다.
2011년 1㎏당 4500원 선까지 치솟았던 산지 마늘 시세가 이같이 떨어진 것은 10여년 새 최저 수준이다. 당시 수확작업비 수준 등을 감안하면 요즘 체감하는 마늘 시세는 20여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라는 게 농가들의 얘기다.
정부의 추가 수매비축 물량이 기대치를 크게 밑돈 데 실망한 농가들이 주산지 농협을 항의방문하는 일도 속출하고 있다.
현재 농가 보유량이 많은 경남·북 <대서> 마늘 주산지에선 농가와 농협간 크고 작은 실랑이가 잇따르고 있다.
농협 수매를 끝낸 제주 등 일부지역의 <남도> 마늘이 <대서> 마늘 저장창고에 쌓이면서 정작 <대서> 마늘은 저장할 창고를 찾지 못해 건조장에 그대로 쌓여 있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정부가 수매비축 물량을 올 연말까지 시장 격리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회의감과 의구심이 확산되고 있다.
공정표 창녕 이방농협 농산물공판장장은 “정부가 일정 가격 이상 오르기 전까지는 시장 방출을 하지 않겠다는 구체적인 계획 없이 막연한 대책만 내놓다 보니 마늘 수집상이나 가공업체들이 정부 발표 이후에도 매입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수급안정대책에서 정부 수매비축 물량 1만5000t, 저율관세할당(TRQ) 물량 1만4000여t, 농협 계약재배 및 자체수매물량 2만t 등 모두 4만9000t을 올해 말까지 시장에서 격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나머지 공급과잉 물량 3만7000t은 소비 확대 및 민간 수입 축소 유도 등을 통해 흡수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추가 수매비축 물량인 5800t은 이달 말까지 수매를 완료하기로 했다. 수매 가격은 기존 수매비축 물량과 같은 1㎏당 1등품이 2300원, 2등품 2100원이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