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기를 맞은 국산콩 생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콩 농가들이 판로를 찾지 못하고 농협수매에 매달리고 있다. 산지 농협도 비슷한 처지다. 대량수요처를 잃어 가격도 결정하지 못한 채 우선 수매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반성장위원회가 두부제조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 데서 비롯된 현상이다.
지난해부터 두부제조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분류되자 두부 생산 대기업이 국산콩 납품량을 큰 폭으로 줄였다. 이들 업체에 납품해온 농가들은 판로가 막히자 무작정 농협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모처럼 살아나고 있는 콩 생산기반이 다시 후퇴 위기를 맞고 있다. 생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은 표본적인 탁상행정이 빚은 결과다.
국산콩 생산은 1990년대 이후 급속히 위축됐으나 최근 식량자급률 확대 정책에 힘입어 늘고 있다. 실제 2010년 10만5000t에 머물던 국산콩 생산량이 2012년 12만3000t으로 늘었으며, 올해는 15만t 안팎의 생산이 예상된다. 또 생산량의 83%는 가공용이며 두부용이 가공용 콩의 절반을 차지한다. 그리고 대기업이 두부 시장의 81%를 점유하고 있다.
동반성장위가 이 같은 대기업 점유비를 기준으로 삼아 두부제조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두부제조만 보고 원료인 콩 생산 농가는 간과한 것이다. 마침 콩 생산농가와 산지 농협, 관련 정부 부처 관계자가 동반성장위를 찾아 현 실태를 설명하고 국산콩두부는 예외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 동반성장위도 국산콩 생산농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판단을 못했다고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반성장위는 산지시세가 뚝뚝 떨어지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농가의 입장을 헤아려 하루빨리 국산콩두부에 대해서는 대기업 참여를 예외적으로 인정해줬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