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콩값 지지위해 수매량 늘린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콩값 지지위해 수매량 늘린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11-15 조회 1120
첨부  

콩값 지지위해 수매량 늘린다


정부, 5372t 추가…산지 “물량 턱없이 부족”

 정부가 콩값 지지를 위해 콩 수매 물량을 확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 전국의 지자체와 농협중앙회·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에 보낸 공문을 통해 콩 수매량을 기존 3128t에서 최대 8500t까지로 늘린다고 밝혔다. 수매 대상 농가는 기존 3128t의 경우 지역농협과 약정을 맺은 농가이며, 추가되는 5372t은 비약정 농가가 대상이다.



 수매 가격은 기존 약정물량(3128t)은 3868원(대립종 백태 상품 1㎏ 기준)이고, 추가 물량은 3843원이다. 수매 기간은 11월 말까지다.



 농식품부가 콩 수매를 늘리기로 한 것은 콩값이 워낙 낮기 때문이다. 현재 콩 산지 가격은 경북이 1㎏당 3600~4000원, 전남·북지역은 3300~3500원, 콩 주산지인 충북 괴산군 불정면은 3500원대로 지난해 6000원 선에 견줘 크게 하락한 상황이다.



이는 올해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데다, 동반성장위원회가 두부 제조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한 이후 ㈜풀무원·대상㈜ 등 대기업에 납품되던 두부 원료용 국산 콩의 판로가 막혔기 때문이다.



 현재 콩 산지가격과 농식품부가 제시한 수매가격을 고려하면 상당 물량이 수매로 몰릴 전망이다. 남무현 괴산 불정농협 조합장은 “일단 많은 농가들이 정부 수매에 응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문제는 수매량이다. 산지에서는 이번에 수매하기로 한 8500t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반응이다. 조영제 한국 국산콩생산자연합회 회장은 “올해 콩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2만5000~3만2000t 많을 것으로 전망돼 8500t으로는 콩값 안정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국산 콩을 사용하면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두부 생산에 제한을 두지 않는 등의 근본적인 대책과 콩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을 배정할 때 국산 콩 사용량에 따라 배정량에 차등을 두는 장치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