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이사람]양액재배 난방 보조장치 개발한 김태룡씨<경남 김해> 글의 상세내용
제목 [이사람]양액재배 난방 보조장치 개발한 김태룡씨<경남 김해>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11-19 조회 1265
첨부  
[이사람]양액재배 난방 보조장치 개발한 김태룡씨<경남 김해>

“난방비·생산성 두마리 토끼 잡았어요”


갈바륨 강관 활용

배지 끝까지 열 전달

작물뿌리 온도 높여

초기비용 많이 들지만

1~2년내 회수 가능


포토뉴스

김태룡씨가 갈바륨 강관을 활용한 난방 보조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아래는 김씨가 개발한 난방 보조장치.



 작물의 뿌리부분(근권부) 온도 유지에 늘 신경써야 하는 양액재배 농가들에게 겨울은 걱정거리가 늘어나는 시기이다. 석유·전기 등으로 하우스 내부를 가온해도 뿌리까지 덥히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고온수 난방관은 설치비용과 난방비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심한 경우 지중·지열난방을 도입해도 배지 온도가 올라가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가운데 경남 김해와 밀양 등 두곳의 농장에서 미니파프리카를 생산하는 김태룡씨(33·농업회사법인 세경)가 갈바륨 강관을 활용한 난방 보조장치를 개발, 난방비 절감은 물론 수확량까지 늘리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삼성중공업에 다니던 그는 20여년간 장미·미니파프리카 등 작물을 양액재배해온 아버지 김정식씨(63)의 대를 이어 5년 전부터 농사에 뛰어들었다. 김씨는 지난해 아버지와 함께 밀양시 초동면 신호리에 1㏊ 규모의 5연동식 비닐하우스를 추가로 지으면서 난방비를 줄이고 작물 뿌리부분의 온도를 높일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짜냈다.



 그 결과 ㈜경남코아이엔지(대표 박경진)의 시공을 통해 암면배지 지지대로 활용하는 일반 스티로폼 판 밑에 가운데를 평평한 타원형으로 찌그러뜨린 길이 4m, 두께 0.5㎜, 지름 27[ 규격의 갈바륨 강관 여러개를 연결시켜 깔았다.



 이 관에는 4m당 세개의 구멍을 뚫어 온풍기의 열이 배지 아래와 하우스 내부로 분산되도록 했으며, 관의 한쪽 끝은 난방기와 연결시키고 다른 한 끝은 갈바륨 강판으로 막아줘 난방기에서 나온 열이 배지 끝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스티로폼 판과 강관 사이에는 한쪽 끝을 ㄷ(디귿)자로 구부린 철판을 대 양액호스를 깔끔하게 정리해 작업효율도 높였다. 뿐만 아니라 열선이나 온수관으로 인한 화재 위험까지 줄일 수 있어 더욱 안전하다.



 “4m짜리 갈바륨관에 80㎏ 성인 세명이 앉아도 휘청거리거나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튼튼해서 미니파프리카·파프리카·토마토 등 각종 양액재배 작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데도 무리가 없습니다.”



 이를 통해 거둔 성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우선 난방비가 크게 줄었다. 석유 대신 전기를 사용해 부담이 적은 편임에도 당초 온수난방을 고려해 950㎾로 전압을 높였던 김씨의 농장은 초겨울에도 450㎾만으로 큰 문제 없이 농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극심한 추위에도 750㎾를 넘지 않을 정도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특히 온풍기에서 30℃의 열풍을 공급하면 배관 끝의 온도가 26℃까지 유지될 정도로 열손실이 적어 실내온도가 25~30℃로 유지되고, 작물 뿌리부분 온도는 한겨울에도 23~24℃에 달한다. 같은 전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김해의 3306※ 규모 농장에서 뿌리 온도가 18~19℃, 실내온도가 15~25℃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다. 생육 또한 왕성해져 보통 한가지당 12개인 착과수가 크게 늘어 32~36개에 달한다는 귀띔이다.



 김씨는 “설치비용이 만만치는 않습니다. 1㏊에 7500만원이 들 정도니까요. 하지만 1~2년 내에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할 정도로 성과가 좋습니다. 전기냉방을 활용하고 있다 보니 여름철에도 이 장치를 이용해 미니파프리카의 품질과 수량을 모두 높여보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 ☎010-3807-0925, 010-2441-3652.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