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정부사업 분석자료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올 4~6월 전국 260개 가축분뇨 자원화조직체를 대상으로 액비 부숙도를 판정한 결과, 해당 시설에서 생산된 액비의 절반 이상이 부숙이 덜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52개소의 공동자원화시설 가운데 액비 완전 부숙 판정을 받은 곳은 28개소(53.8%)였고, 나머지 24개소(46.2%)는 중숙 또는 미숙 판정을 받았다. 또 208개 액비유통센터 가운데 완전 부숙 판정을 받은 곳은 79개소(38%)에 그쳤고 126개소(60.6%)는 중숙, 3개소(1.4%)는 미숙 판정을 받아 액비 품질향상을 위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부 지원을 받아 설치된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에서 생산된 액비의 부숙도가 미흡한 것은 시설 노후화 때문이다. 보통 액비시설은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 등으로 부품의 부식이 빨리 진행돼 평균 내용연수가 4~5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정부 지원사업은 신규 시설 설치사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시설 노후화가 계속 심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부의 내년도 액비 저장·살포 관련 사업 예산 편성안(108억원 규모)을 보면 기존 시설에 대한 개보수 예산은 없이 전부 액비저장조·액비유통센터·액비살포기· 액비 성분분석기·액비부숙도판정기 등의 신규 시설 확충으로만 계획이 짜여 있다.
부숙이 덜 된 액비가 유통·보급되면 경종농가들의 외면을 받아 액비 사용이 감소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이제 막 기틀을 잡은 자연순환농업의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공동자원화시설 퇴·액비화 150개소, 에너지화 21개소, 액비유통센터 287개소 등으로 시설을 확대해 가축분뇨 자원화율을 91%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잡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국내 가축분뇨 총 발생량 4649만t 가운데 정화 방류 처리된 물량을 빼고 퇴·액비로 자원화된 비율은 88.7%(4124만t)이며, 이 가운데 7.7%(358만t)는 액비로 생산됐다.
국회 관계자는 “자연순환농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시설을 적정수준으로 계속 늘려 나갈 필요가 있지만 이제는 내실을 다져 자연순환농업 체계를 공고히 하는 게 더 중요한 시점”이라며 “기존 자원화시설들의 운영 실태를 점검해 개보수 계획을 수립·지원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해 가축분뇨 자원화 효율성 제고와 액비 품질향상을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