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축산농가들은 사료비 상승, 축산물값 하락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한우·돼지·젖소 등 3개 축종을 중심으로 올 한해 축산을 결산한다.
올해 한우농가들의 최대 관심사는 소값 회복 여부였다. 지난해 산지 가축시장에서 평균 343만원에 거래된 소값(600㎏ 수소 기준)으로는 적자(생산비 576만4000원)를 면할 수 없기 때문.
따라서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소값을 안정시키는 데 집중했다. 지난해 말에 끝내기로 했던 암소도태 장려금 지급사업을 올해도 계속 펼쳤고, 생산자단체인 농협 역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저능력 암소 자율 감축사업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농협·전국한우협회·한우자조금 등이 연중 한우고기 할인판매 등 소비촉진 운동을 벌인 것도 암소 감축을 활발히 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다. 농식품부와 한우자조금은 한우고기를 할인 판매하는 유통업체에 차액의 일부를 보전해주기도 했다.
이 같은 할인행사로 암소는 물론 전체 한우 도축물량이 크게 늘었다. 올 들어 11월 말까지 도축된 한우는 87만2150마리(등급 판정 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77만1159마리)보다 11.5% 증가했다. 2011년 한우 도축마릿수(11월까지)는 64만147마리였다.
한우고기 공급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수입쇠고기 시장을 위축시키는 효과도 가져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 말까지 국내에서 소비된 쇠고기 46만7700t 가운데 국내산 비중이 50.4%(23만5700t)로 수입쇠고기(23만2000t)를 앞섰다. 아직 12월 수입통계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쇠고기 시장이 개방된 2001년 이후 국내산 쇠고기 소비량이 수입 쇠고기를 앞선 것은 올해가 처음인 것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의 방사능 사고 여파까지 더해지자 한우값은 추석 대목장을 기점으로 계속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국 축산물도매시장의 한우지육 1㎏당 평균 경락값은 6월 1만1790원에서 9월 1만4043원으로 20% 가까이 오른 데 이어 12월(1~16일)엔 1만4205원을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산지 가축시장의 큰 소와 송아지값도 꾸준한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우사육을 포기하는 농가가 속출하는 등 아쉬움도 없지 않았다. 소값이 회복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사료비 부담이 늘어난 데다 쇠고기 시장 개방으로 한우사육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본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한우 농가수는 올 3월 14만2000농가에서 9월엔 13만2000농가로 6개월 만에 1만 농가(7%)나 줄었다.
축산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올해 한우와 한우송아지를 FTA피해보전 직불금 및 폐업대상 품목으로 지정한데다 사료비 부담 증가도 영향을 끼쳤다”며 “미국·호주에 이어 뉴질랜드·캐나다·중국 등과 FTA 추진이 본격화되면 한우사육을 접는 농가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우관련 정책도 논란을 일으켰다. 한우 사육기반 안정을 위해 도입한 송아지생산안정제의 보전금 지급방식이 바뀌면서 농가들이 거세게 반발했지만 정부의 입장은 변함 없어 내년에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올해 정부가 FTA 피해보전직불금을 산정할 때 반영키로 한 ‘수입기여도’에 대해서도 생산자단체와 정부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이 문제 또한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