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역경 이겨낸 성공 농업인(33)·끝 경남 밀양 박태현씨 글의 상세내용
제목 역경 이겨낸 성공 농업인(33)·끝 경남 밀양 박태현씨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12-23 조회 1141
첨부  
역경 이겨낸 성공 농업인(33)·끝 경남 밀양 박태현씨

간단전조재배법 개발…딸기농사 차별화


신체장애·가난 극복…새농민상 등 수상

농부로 살아온 인생살이 시집까지 펴내


포토뉴스

시집 ‘부메랑’을 출간한 박태현 밀양새농민회장이 시집을 들어보이고 있다.



 ‘어린것들이 맨주먹을 새파랗게 움켜쥐고 / 가는 팔을 쭉쭉 뻗으며 툭툭 잽을 던진다 / 딸기 하우스에서 제 주먹에 피멍 드는 줄 모르고 / (중략) / 흙 묻은 장화발로 새벽마다 문 열고 / FTA 거친 주먹들과 겨루기 위해 / 겨우내 제자들을 길러 내신다 /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동네 사람들은 / 우리 아버지를 맹코치라 불렀다.’(시 <맹코치> 중에서)



 박태현 밀양새농민회장(67·경남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은 맹코치에 가까운 삶을 살아왔다. 그는 세 살부터 자신을 괴롭힌 소아마비를 극복하고 딸기 간단전조재배법을 개발한 선도농업인이자 네 자녀를 의사와 교사로 키워낸 아버지로 우뚝 섰다. 최근 그는 첫 시집 <부메랑>을 펴내며 독학으로 일군 문학수업의 결실을 내놓아 문단의 호평도 받았다.



 고교 졸업 후 독학으로 고등고시 1차에 합격했을 정도로 명석한 두뇌를 지녔지만,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꿈을 접어야 했던 그는 전재산인 오두막과 논 1983㎡에서 아내 오분름씨(64)와 함께 아이들, 다섯 동생을 키워내기 위해 숱한 고생을 했다.



 한때 부업으로 TV수리점을 열었지만, 1년 만에 문을 닫아야 했다. 아내도 날품팔이·농사일 등 온갖 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의 아내가 이러한 어려움을 바탕으로 쓴 <바가지에 담긴 흰쌀>은 1995년 <농민신문> 생활수기 부문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그 또한 <장애인 딸기농사 도전기>로 2006년 <농민신문> 영농수기 가작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는 딸기농사를 지으며 큰 성공을 거뒀다. 부단한 노력과 지치지 않는 학구열로 한 시간에 12분만 전등을 켜 놓으면 밤새 전등을 켜놓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간단전조재배법을 개발, 2001년 새농민상 본상 기술부문상과 2005년 장애극복상을 받았다.



 이제는 딸기농사를 접고 단감(1.65㏊)과 벼·보리(3.3㏊)를 재배하고 있는 그는 새로운 ‘주경야독’을 시작했다. 네 자녀가 모두 대학을 졸업한 2007년부터 시쓰기에 매달린 것. <농민신문> 등 자료와 전문서적을 벗하며 농사를 지어온 그는 이번에도 농사일이 끝난 한밤중에 혼자서 문학 이론서를 읽고, 시짓기에 몰두했다. 그 결과 2011년 영남권 문예지인 <서정과 현실> 신인상에 당선된 지 2년 만에 그는 56편의 시를 모은 이번 시집을 세상에 선보였다.



 그의 시는 자신의 굴곡 많은 삶과 농사일, 농촌의 모습들을 담담하면서도 애정어린 시선으로 그려냈다.



 장애와 역경이 가득한 세상에 던져진 인생들에게 바치는 송가인 표제시 <부메랑>을 비롯해 방학 때마다 아버지의 농사일을 도와야 했던 아들의 어린시절 회상을 통해 농촌의 고된 삶을 그려낸 <맹코치>, 사금처럼 귀하던 쌀의 퇴락을 아쉬워하는 <쌀값 이야기> 등 다양한 시에서는 고통에서도 꺾이지 않는 강한 인내와 젊은 기백이 엿보인다.



 “농사일, 자녀 양육, 시쓰기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게 없더군요. 낮에는 일용할 양식을 기르고, 밤에는 영혼의 자식들을 세상에 내놓기 위해 몸과 마음이 다할 때까지 공부를 멈추지 않겠습니다.”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