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둬야 할 농업·농촌 정책으로 ‘농산물 가격안정’이 꼽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도시민 1500명과 농업인 522명을 대상으로 벌인 ‘농업·농촌에 대한 2013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5년간 투자를 확대해야 할 농업·농촌 정책으로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농산물 가격안정’을 1순위로 택했다.
2순위로는 도시민이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농업인은 ‘농가소득 안정’을 제시했다. 농업분야 후계인력 양성, 친환경농업, 농촌복지도 도시민과 농업인에게 고른 점수를 받았다.
올해 농업인들이 느낀 경영 위협 요인으로는 ‘일손 부족’(17.7%)이 가장 컸고, ‘FTA 등 개방확대’(16.2%)와 ‘생산비 증가’(16.1%)가 뒤를 이었다. 올해 농사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한다’(34.2%)와 ‘만족한다’(33%)가 비슷했다.
정부가 내년에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농업·농촌 현안으로는 ‘한·중 FTA 협상’(27.7%),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23.1%), ‘쌀 관세화 유예 종료’(14.2%) 순으로 조사됐다.
도시민들이 가장 관심있는 농업정책으로는 ‘안전한 식품 공급’(20.6%)과 ‘친환경 농산물 생산·유통’(14.7%)이 꼽혔다.
농촌복지 예산 증액에 대해서는 ‘찬성한다’(50.1%)가 ‘반대한다’(12.9%)에 견줘 4배나 많았다. 농업인 세제 혜택 역시 ‘긍정적으로 본다’(34.1%)가 ‘부정적으로 본다’(15.4%)를 월등히 앞섰다.
‘현행 농업 분야 FTA 피해보상 수준’에 대해 도시민 41.9%는 ‘불공평하다’고 평가했다. ‘공평하다’는 응답은 11.2%에 그쳤다. 피해보상 방법으로는 60.4%가 ‘국가 차원의 별도 보상책’을, 33.1%는 ‘수혜 분야의 이익을 농업 분야에 배분할 것’을 제안했다.
출처 :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