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경기 시흥시 시흥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업무보고가 끝난 뒤 최근 소비가 줄어든 닭·오리고기 요리를 시식하며 소비확대를 당부했다. 맨 오른쪽은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특약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창조경제를 통한 농축산물 수출 확대를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경기 시흥에 있는 시흥비즈니스센터에서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정화 중소기업청장,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민생 실물경제 분야’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네덜란드는 땅이 상당히 척박하지만, 기술 덕분에 농산물 수출 강국에 거의 1등으로 올라설 수 있었다고 한다”며 “우리의 강점인 정보기술(IT)·생명공학기술(BT)을 농축산업과 융합해 ‘창조경제’의 핵심 수출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민간 전문가와 농축산인 단체 등이 동참하는 ‘농식품수출개척협의회’ 운영을 내실화해 농업인·농식품기업에 대해 수출업 관련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농식품 분야 100억달러 수출’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는 등 수출을 통해 우리 농업의 활로를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조류인플루엔자(AI) 등과 관련해서는 “AI나 구제역 같은 재난 수준의 질병은 농축산인의 삶 자체를 위협하는데, 과거 AI가 발생할 때마다 철새가 원인으로 지적돼 왔지만 철새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갖추지 못했다”며 “이번 AI 상황에 대처하면서 확인된 미흡한 점을 분석하고, 외국 사례도 조사해 농장관리 매뉴얼을 더 정교하게 정리해야겠다”고 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철새 도래지 인근의 닭·오리 농장 허가 조건 강화와 축사시설 현대화 등 (AI)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대책을 수립하기 바란다”며 “아울러 구제역도 최근 북한·중국·몽골 등 주변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가축 백신 접종과 국경 검역 등을 한층 더 강화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뿌리 깊은 비정상들을 바로잡는 노력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농업 면세유 부정사용과 보조금 부정수급 등 고질적이고 비정상적인 관행이 잘 고쳐지지 않고 있다”며 “단돈 한푼이라도 국민의 혈세가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창의적 벤처 육성과 관련, “농축산 분야는 시장도 좁고 정보도 잘 알려지지 않아 유망한 기술이 주목받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개발된 기술이 초기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업무보고가 끝난 뒤 닭·오리고기 시식회에 참가했다. 이날 시식회는 고병원성 AI 발생 이후 대폭 감소했다가 최근 회복세를 보이는 닭·오리고기 소비를 더욱 촉진하고자 농식품부와 농협중앙회가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다. 박 대통령은 “AI 때문에 막연한 불안감으로 소비가 줄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익혀 먹으면 아무 문제 없는데”라며 닭강정과 훈제오리 샐러드를 시식했다. 시식회에는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과 최원병 농협중앙회장 등도 함께 했다.
한편 이날 3개 부처를 끝으로 5일 국무조정실과 법제처 등 3개 부처를 시작으로 진행된 올해 업무보고가 종료됐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