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송아지 입식해 얼마에 팔아야 손해 안보나 글의 상세내용
제목 송아지 입식해 얼마에 팔아야 손해 안보나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2-27 조회 1319
첨부  
송아지 입식해 얼마에 팔아야 손해 안보나

720㎏ 비육소 694만원은 받아야


수송아지값 230만원, 사료값 261만원, 첨가제·치료비 등 203만원


[집중점검]송아지 입식 열기 뜨겁다

 한우 비육농가가 6~7개월령 수송아지를 구입해 거세 비육에 들어갈 경우 출하하기까지 보통 24개월이 걸린다.



 농협에 따르면 생후 6개월령(130㎏)인 수송아지를 24개월 동안 비육하면 720㎏ 정도의 큰 소로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합사료만 평균 5295㎏(25㎏들이 211포대)이 필요하다. 또 볏짚 등 조사료도 1740㎏을 먹는다.



 다시 말해 배합사료값으로 211만원(한포대에 1만원 계산), 조사료값으로 50만원을 각각 투입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농가가 230만원을 주고 수송아지 한마리를 구입했다고 가정하면 큰 소로 키워 팔기까지 최소 491만원을 투자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역으로 최소한 491만원 이상 받아야 송아지 구입비·배합사료값·조사료값을 건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송아지 구입비와 사료값을 뽑는다고 수지를 맞췄다고 볼 수는 없다. 소가 먹는 비타민 등 각종 첨가제를 비롯해 질병 치료비, 방역비, 분뇨처리비, 토지임차료, 감가상각비, 수도광열비에다 농가의 인건비까지 감안해야 제대로 된 ‘본전’인 생산비가 나오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012년 기준으로 조사한 한우 비육우(600㎏ 기준) 한마리의 생산비는 579만원이었다. 이는 단순 계산하면 생체중 1㎏당 9650원꼴로, 720㎏짜리 비육소는 생산비가 694만원을 넘는다.



 따라서 비육농가는 큰 소 한마리를 최소 694만원에 팔아야 손해를 입지 않게 된다. 가축시장에서 큰 소 한마리를 694만원에 팔려면 생체중 1㎏당 9650원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가축시장에서 생체중 1㎏당 가격이 9000원을 넘었던 때는 매우 드물었다. 쇠고기 시장이 개방된 2001년 이후 큰 소 생체중이 1㎏당 9650원을 넘긴 해는 2003년(9708원) 단 한번뿐이었다. 지금은 7100~7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육질 등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도매시장에 출하하면 얘기는 조금 달라질 수 있다. 720㎏짜리 거세 비육우를 도축하면 지육이 평균 431㎏(지육률 59.9%적용) 나온다. 만일 이 소가 육질 최고 등급인 1++를 받는다면 지금 기준으로는 다행히 725만5885원(21일 현재 거세우 1++등급 1㎏당 평균 경락값은 1만6835원)을 받아 약간의 이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등급을 받으면 수취가격은 632만원 선에 그치고, 1등급을 받으면 572만원 선에 불과하다. 지난해 한우 거세우의 육질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17.1%, 1+등급 32.6%, 1등급 33.8%였다. 이를 기준으로 볼 때 거세우 100마리 가운데 불과 17마리 정도만 이익을 보는 것이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