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벼·콩 품종 ‘바코드’로 가려낸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벼·콩 품종 ‘바코드’로 가려낸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2-27 조회 1354
첨부  

벼·콩 품종 ‘바코드’로 가려낸다


농진청, 인식시스템 최초 개발

유전자 1% 달라도 정확히 판별

맞춤형 품종개발 등 활용 기대


포토뉴스

농촌진흥청 관계자가 ‘품종인식 코드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벼·콩 품종을 바코드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판별하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을 이용해 유전자가 1%만 달라도 품종 간 차이를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는 ‘품종인식 코드화 시스템’을 개발, 국내외에 특허출원했다고 최근 밝혔다.



 ‘품종인식 코드화 시스템’은 벼 285개, 콩 147개 품종의 고유 특징을 나타내는 유전자 표지(마커)를 선발하고 그 결과를 바코드화해 품종 간 차이를 판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쓰인 유전자 표지는 품종마다 다른 DNA 염색체를 분류해 99% 유사한 품종 간에도 그 차이를 정확하게 구별한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국산 품종의 권리 보호는 물론 유전체 조합을 통한 맞춤형 품종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컨대 수량이 많고 도정수율이 높으며 밥맛도 좋은 벼 품종을 개발할 때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품종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조합이 가능해 목표 유전자를 지닌 품종을 보다 빠른 시간 안에 개발할 수 있다.



 또 고가의 장비를 갖추지 않은 일반실험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분석방법에 견줘 표지 제작비용과 소요시간을 각각 10분의 1, 3분의 1 이상 줄일 수 있다.



 임상종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원장은 “‘품종인식 코드화 시스템’ 개발로 국산 벼와 콩의 판별을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 육종 기술이 한 단계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농진청 답작과 ☎031-290-6682.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