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이 내한성이 양호한 품종으로 추천한 ‘미홍’(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유미’ ‘수미’ ‘선미’ 복숭아.
농촌진흥청은 최근 복숭아 재배 농가에서 내한성을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품종을 심거나 재배관리를 소홀히 한 결과 그동안 겨울철 언피해가 적었던 남부 지역에서도 피해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묘목을 교체할 때 품종 선택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진청은 내한성이 양호한 품종으로 국내에서 육성된 <미홍> <유미> <수미> <선미> 등을 추천했다. 이는 농진청이 최근 3년간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복숭아 품종별 내한성 정보와 과거 30년(1981~2010년)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한 것이다.
농진청이 이번에 추천한 내한성 복숭아 품종들은 전국 7개 지역에서 5~6년 동안 지역 적응성 시험을 거쳐 선발돼 극심한 한파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 품종은 최저기온이 영하 21℃ 이상인 전남북·경남북·경기지역에서 언피해에 대한 큰 우려 없이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반면 일본에서 도입·보급된 <가납암백도> <경봉(오도로끼)>은 내한성이 매우 약해 비교적 남부지역에 가까운 경북 경산·의성 등에서도 언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진청은 이들 품종은 최저기온이 영하 15℃ 이상인 전남 남서해안과 경남 남해안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아무리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라도 기온이 영하 21℃ 이하로 자주 내려가는 지역과 찬 공기가 머무는 지역, 물빠짐이 안좋은 경작지 등에서는 복숭아 재배가 부적합하다고 농진청은 지적했다.
남은영 농진청 과수과 연구사는 “묘목을 심기 전에 연구·지도기관과 상의하거나 작은 규모로 직접 시험재배해 품종 특성을 파악한 후 본격적인 재배에 나서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03
1-240-3683.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