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귀농·귀촌 가구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또 귀농·귀촌을 통해 40대 이하 젊은층의 농촌 유입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2013년 귀농·귀촌 가구수가 3만2424가구(5만6267명)로, 2012년의 2만7008가구(4만7322명)보다 20% 증가한 사상 최대치라고 발표했다.
2001년 귀농·귀농 가구수가 880호에 불과했던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증가세이고, 귀농·귀촌이 급증하기 시작했던 2011년(1만503호)과 비교해도 3배 이상 늘었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증가와 전원생활을 통한 가치 추구의 확산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세부적으로는 귀촌이 전체 귀농·귀촌 가구수의 66%(2만1501가구)를 차지해 귀농보다는 귀촌을 원하는 도시민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귀농(1만923가구)은 2012년(1만1220가구)보다 다소 줄었으나 2011년부터 3년 연속 1만가구 이상을 유지해 귀농 열기가 식지않았음을 보였다.
고무적인 것은 40대 이하의 귀농·귀촌 가구수가 2001년 647호에서 2011년 4416호, 2013년 1만2318호로 급증했다는 점이다. 이는 장차 농업·농촌을 이끌어나갈 젊은층의 농촌유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귀농은 농지가격이 낮고 귀농 지원 프로그램이 잘 갖춰진 경북·전남·경남 등의 지역이 선호되고 있으며 귀촌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 것도 특징이다.
이에 따라 귀농·귀촌인을 위한 지원 정책도 강화된다. 농식품부는 우선 귀농·귀촌인의 6차 산업화 창업을 지원, 6차산업화 핵심주체로 육성하기로 했다. 또 귀농·귀촌인을 활용할 수 있는 농산업인턴제 인원을 확대하고 현재 39세 미만인 연령제한을 49세로 완화하기로 했다.
특히 귀농초기 영농정착을 잘할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등 시설설치 지원을 위한 규제를 완화하고 주택 구입자금의 대출이율을 현재 3%에서 2~2.7%로 인하해 5000만원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귀농인들이 귀농 초기 소규모농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오경태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정책보다는 귀농·귀촌한 도시민이 정착하는 데 정책의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