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송용헌) 생명공학연구소는 국내 최초로 성감별 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해 유단백률과 유지방률이 높은 <저지>품종의 암송아지 2마리(사진)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성감별 수정란을 얻은 소 역시 생명공학연구소가 2011년 캐나다산 <저지> 수정란을 이용해 생산한 것이다. 국내에 많이 보급돼 있는 <홀스타인>품종은 산유량은 많으나 더위에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저지>품종은 산유량은 <홀스타인>품종에 비해 적지만 고온에 강하고 우유 내 단백질 함량이 높아 유제품 제조에 적합하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특히 올해부터 원유가격을 산정할 때 유지방·체세포수·세균수와 함께 유단백질이 추가됨에 따라 <홀스타인>품종보다 상대적으로 유단백률 및 유지방률이 높은 <저지>품종의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지>품종에서 생산한 원유의 평균 유단백질 함량은 3.8%로 <홀스타인>의 3~3.3%에 비해 최고 0.8%포인트 높다.
서울우유협동조합 관계자는 “원유가격 산정체계의 변화로 <저지>품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저지>품종 보급이 늘면 치즈는 물론 유단백질이 강화된 유음료 생산이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