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위기의 국산콩 생산 농가, 해법은?’ 국회 토론회 글의 상세내용
제목 ‘위기의 국산콩 생산 농가, 해법은?’ 국회 토론회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5-08 조회 1398
첨부  
‘위기의 국산콩 생산 농가, 해법은?’ 국회 토론회

“국산콩 원료 두부 제조업, 중소기업적합업종 제외를”


“지정 후 국산콩 소비 급감”

 국산 콩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두부 제조업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을 해제하거나, 국산 콩을 원료로 하는 경우엔 예외시키는 조항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경북 군위·의성·청송)과 농협중앙회, 국산콩생산자연합회가 최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 주최한 ‘위기의 국산 콩 생산농가, 그 해법은?’ 토론회에선 두부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의 불합리성에 대한 지적이 쏟아졌다.



 이번 토론회는 2011년 동반성장위원회가 두부를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한 이후 국산 콩 소비가 크게 줄어들자 동반성장위원회, 농림축산식품부, 농협,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두부 제조업체, 농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두부를 만드는 중소기업과 콩 생산농가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먼저 주제 발표를 한 성명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산 콩을 원료로 한 두부시장은 식품기업의 진입장벽을 제거해 국산 두부 수요를 진작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훤 농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국산 콩을 원료로 하는 두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경쟁영역이 아닌데, 동반성장위원회가 이를 간과한 채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두부 중소기업을 대표하는 한국연식품협동조합연합회 황성하 전무는 “두부를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한 것이 국산 콩 소비감소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국산 콩 두부를 구입할지, 수입 콩 두부를 구입할지는 소비자가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한편 정선용 동반성장위원회 적합업종지원단장은 “두부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은 올 11월로 3년의 기한이 만료되기 때문에 재지정 여부를 9월경부터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이 때는 농식품부와 농가 대표 등이 함께 참석해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