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출하 빨라진 시설 포도, 초반가격 약세 글의 상세내용
제목 출하 빨라진 시설 포도, 초반가격 약세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6-03 조회 1255
첨부  

출하 빨라진 시설 포도, 초반가격 약세


지난해보다 20% 가량 떨어져…물량 많은데 소비 안따라

낮은값 지속땐 생산비 부담 큰 가온재배 감소세 빨라질듯


포토뉴스

농협 하나로클럽 서울 양재점에서 판매 중인 ‘거봉’과 ‘델라웨어’ 포도.



 포도가 예년보다 일찍 선보이고 있지만 가격은 크게 낮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28일 시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5월 초순 <델라웨어>를 시작으로 출하된 포도는 현재 <거봉>, <캠벨얼리>, 청포도 등 거의 모든 품종에서 출하가 개시됐다. 초출하 시점만 놓고 보면 대부분의 품종에서 지난해보다 닷새가량 빨라졌다. 현재 출하되는 포도는 가온 설비를 갖춘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된 것들이다.



 <델라웨어>는 대전지역에서 출하되고 있고 <캠벨얼리>는 충북 영동과 충남 논산지역이 주 출하처다. <거봉>은 경북 김천과 충남 논산·계룡지역에서 출하가 활발하고 청포도는 대전과 영동·논산지역에서 주로 공급되고 있다.



 초반 가격은 지난해에 견줘 내림 폭이 크다. 서울 가락시장에선 <델라웨어>가 주로 거래되고 있는데 시세는 28일 현재 2㎏들이 상품 한상자당 1만7100원 선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2만1700원 선)보다 21% 낮은 것이고 최근 5년 내에서도 최저 수준이다.



 최우영 농협중앙회 농산물도매분사 청과사업단 대리는 “<거봉>이나 <캠벨얼리>의 시세도 전체적으로 20% 정도 내린 것으로 파악된다”며 “(가온재배 포도의) 작황이 양호해 수확량은 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소비는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가격이 약세에 머무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가격 흐름은 장기적으로 포도 재배 경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포도는 크게 시설재배와 노지재배로 양분된다. 시설재배 면적은 2000년 전체의 4% 수준이었지만 지난해엔 17%까지 늘어났다. 기상에 따른 단수 변동이 적고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시설재배는 다시 가온과 무가온으로 나뉘는데 가온재배의 경우 최근 재배면적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유류비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주 출하기인 5~6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수입포도와의 경합이 고착화되다시피해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일 발표한 농업관측도 이런 흐름을 뒷받침한다. 농경연은 올 시설 재배면적 가운데 가온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2% 감소하는 반면 무가온 면적은 4%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북 남원과 김제 등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 등의 지원에 힘입어 무가온 시설재배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농경연은 설명했다.



 따라서 출하기 시세마저 따라주지 않을 경우 높은 생산원가 등 재배여건이 좋지 못한 포도 가온재배의 감소세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추정이 힘을 받는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