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 농업용 무인헬기가 도입된 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무인헬기 이용에 따른 성과와 향후 보완점 등을 짚어본다.
◆노동력 크게 줄었다=무인헬기로 항공방제를 하면 시간당 최대 10㏊(3만평)의 논 등에 약제를 살포할 수 있다. 원거리용 방제기를 이용할 때보다 노동력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는 셈이다. 이뿐만 아니다. 약제를 정량만 살포할 수 있어 과다살포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고, 산비탈 등에서도 작업이 용이하다.
이런 장점 때문에 무인헬기를 이용한 방제면적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농협을 통한 전국 무인헬기 방제면적은 2004년 1730㏊에서 지난해 9만5187㏊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는 12만여㏊에 이를 전망이다. 여기에 영농조합법인 등이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까지 더하면 항공방제 면적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인헬기를 통한 농작업도 갈수록 다양화하고 있다. 최근엔 영양제·미생물제제 등 각종 친환경제제 및 비료 살포,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벼 직파재배에까지 활용되고 있다.
한편 농협은 2013년말 현재 136대의 무인헬기(119개 지역농협 소유)를 보유하고 있다.
◆운영비 해결이 과제=무인헬기를 소유하고 있는 농협과 영농조합법인 관계자들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실정’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다시 말해 무인헬기 구입비 못지않게 운영비 부담도 크다는 것.
지역농협에서 무인헬기를 신규로 구입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농협중앙회로부터 구입가의 70%가량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의 들녘경영체사업 중 시설장비 지원사업을 통해 구입가의 90%까지 지원받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예산이 한정된 탓에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더 큰 문제는 설사 사업 대상자로 선정되더라도 운영비를 감당하기가 만만치 않다는 것. 농협중앙회가 지난해 무인헬기를 소유하고 있는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연차별 비용을 분석한 결과 인건비·보험료·수리비·연료비 등을 합친 운영비가 1년차엔 5611만원, 3년차엔 5379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보험료의 경우 최근 몇년 새 크게 치솟아 기종에 따라 연간 1000만~1500만원에 이르고, 정기점검비용도 매년 750만원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연간 운영비가 2억원 상당인 무인헬기 한대를 자부담 30%(6000만원가량)로 구입한 금액과 맞먹게 되는 셈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책당국은 운영비를 보조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 식량정책과 관계자는 “무인헬기 운영비가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구입비가 아닌 운영비 보조사업은 다른 영역에도 없는 만큼 현재로서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농업인들과 생산자단체 관계자들은 “구입비 지원 못지않게 운영비 지원도 중요하다”며 “관계당국은 무인헬기를 이용한 영농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운영비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