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중국 ‘차’ 생산량 10년새 갑절로 국제적 명성 높아져 수출도 늘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중국 ‘차’ 생산량 10년새 갑절로 국제적 명성 높아져 수출도 늘어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6-20 조회 1036
첨부  

중국 ‘차’ 생산량 10년새 갑절로


국제적 명성 높아져 수출도 늘어


<2001년 70만2000t→2011년 162만t>

우리나라 수입물량은 ‘미미’…FTA 결과따라 급증 가능성

국내 차 산업 경쟁력 높여야


포토뉴스

 중국의 ‘차(茶)’ 생산량 증가세가 예사롭지 않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다원(茶園·차를 재배하는 밭) 보유국이자 연간 160만t 이상의 차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차 생산국이다. 1995년 이후 중국 차 생산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그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고급차 열풍으로 매년 다원면적이 확대되는 동시에 차 가격 상승으로 재배농가의 생산에 대한 적극성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어서다.



 



 ◆생산량 10여년 새 ‘갑절’ 넘게 늘어=경제발전과 소득수준 향상, 건강에 대한 인식 확산 등으로 중국의 차 소비량은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늘어나는 수요는 생산량 증가로 이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중국 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 70만2000t이던 중국 차 총생산량은 2011년에는 162만t으로 10년 만에 갑절 넘게 증가했다<그래프 참조>. 이는 2000년대 들어 중국 내 고급차 열풍으로 전국의 차 주산지가 고급차를 중심으로 급격히 발전한 데다 2003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으로 중국 차 무역이 크게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특히 2009년 이후로는 ‘차 가격 상승’에 따른 농가의 경제성 제고와 이로 인한 ‘다원면적 확대’라는 선순환이 이뤄지면서 그 증가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생산량 증가와 더불어 수출 역시 안정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차 수출물량은 2003년 26만t에서 2012년 31만t으로 10년 동안 5만t이 늘었다. 늘어난 물량에 비해 수출 금액은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같은 기간 중국의 차 수출금액은 3억7000만달러에서 10억4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이는 중국 수출 차의 품질이 향상되고 국제적인 명성이 높아지면서 수출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차 생산·수출 ‘동향’ 면밀히 살펴야=현재 중국의 주요 수출국은 모로코·미국·러시아·일본 등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수입물량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513%(고급 녹차)에 달하는 높은 관세 덕분이다.



 하지만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보이차와 같은 중국 고급차의 소비가 확대되는 추세인 데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결과에 따라서 우리나라 차 산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향후 언제든 중국 차 수입이 급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박기환 농경연 연구위원은 “중국의 차 생산이나 수출동향을 면밀히 관찰해 국내 차 산업에 파급될 영향을 분석하고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안전성’ 등 국내 차 관련 제품의 장점을 적극 홍보해 중국 차와 차별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08년 정점을 찍었던 우리나라 차 재배면적은 최근 커피를 비롯한 대체음료 시장 확대 등의 영향으로 2012년 기준 20% 이상 감소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