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진청 ‘수박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진청 ‘수박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7-03 조회 1473
첨부  
농진청 ‘수박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2줄기 방임재배로 노동력 75% 줄여”


에탄올로 토양 소독하면…세균·곰팡이 등 크게 감소


포토뉴스

농촌진흥청은 최근 충북 음성에서 ‘수박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을 열고 고품질 수박 생산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을 소개했다. 사진은 2줄기 방임재배법으로 키우고 있는 수박.



 농촌진흥청은 최근 충북 음성에서 ‘수박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선 고품질 수박 생산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들이 소개돼 참석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수박 2줄기 방임재배법=수박을 2줄기 방임재배법으로 생산하면 노동력 절감과 품질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구미시농업기술센터 이웅학 박사는 “수박을 2줄기 방임재배법으로 생산하면 기존 3줄기 재배법에 비해 노동력을 75%까지 줄일 수 있다”며 “곁가지 제거과정을 대폭 축소하는 이 재배법을 활용하면 수박 품질이 오히려 향상된다”고 말했다.



 구미지역에서 2줄기 방임재배법으로 수박을 생산한 40농가 가운데 38농가가 품질 및 크기 향상효과를 거뒀는데, 특히 당도의 경우 평균 0.7브릭스(Brix) 이상 높아졌다고 이 박사는 설명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수박재배에서 노동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작업은 곁가지 관리다. 3줄기 유인재배법을 활용할 경우 수박 줄기에 돋아난 곁가지를 모두 잘라내야 하는데, 이땐 한 주당 100개 정도의 곁가지를 제거해야 하고 작업시간도 10a(300평)당 56시간 정도나 소요된다.



 그렇지만 2줄기 방임재배법으로 농사를 지으면 두개의 줄기를 유인한 뒤 수박이 착과된 줄기에 자라난 곁가지만 모두 제거하고 착과되지 않는 줄기는 일부 곁가지 외엔 그대로 놔두기(방임) 때문에 작업시간이 13시간에 불과하다. 미착과 줄기에 자라난 곁가지는 어미넝쿨 재배 땐 2·4절까지만 잘라내고 아들넝쿨 재배 땐 2·4·6·8절까지 잘라내면 된다. 착과 후 20~35일까지는 초세를 조금 강하게 유지하는 게 좋고 생육상황에 따라 곁가지를 한두개 더 제거하거나 덜 제거해도 된다.



 이 같은 2줄기 방임재배법을 이용하면 3줄기 재배법에 비해 뿌리생육이 좋아 잎이 넓어지고 작물체가 건강하게 자란다. 제거하는 곁가지가 적어 식물체에 스트레스를 덜 주기 때문이라는 게 이 박사의 설명. 또 곁가지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처는 균핵병 등 병해가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데, 2줄기 재배 땐 그와 같은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고 이 박사는 덧붙였다.



 ◆저농도 에탄올로 토양소독 효과=수박 등 시설원예작물을 이어짓기하면 토양으로 전염되는 병해충이 많아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진청은 에탄올 이용 토양소독법을 개발했다.



 에탄올로 토양을 소독하는 방법은 공업용 에틸알코올을 물에 0.5~1%로 희석해 재배전에 10a당 20~30t 정도 뿌린 다음 비닐로 땅 표면을 덮고(멀칭) 비닐하우스를 밀폐하면 된다. 이로부터 10일이 지나면 경운 및 로터리 작업을 통해 가스를 제거하고 1주일 뒤 작물을 심으면 된다.



 이 소독법은 다른 약제소독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는 게 농진청의 설명. 에탄올은 토양 속에서 1주일 이상 지나면 분해돼 없어지고 인체에 미치는 독성도 다른 화학약품에 비해 적다. 투입비용이 10a당 17만5000~35만원으로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에탄올로 토양을 소독하면 땅 속 세균·곰팡이 등 미생물의 밀도가 뚜렷이 감소하고 시들음병 등 병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토양전염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경영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