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늘리기는 농촌형 지자체에는 발등의 불이다. 적정 인구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정부의 정책지원 소외는 물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다방면의 노력을 통해 인구 늘리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지자체들도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비결은 무엇일까.
◆귀농·귀촌 선두주자=전남 구례군 인구는 한때 7만8000명으로 정점을 기록했으나 2005년 3만명 선이 무너진 이후 2012년에는 2만7077명으로 매년 감소했다. 이로 인해 틈만 나면 순천·광양시로의 통폐합론이 나올 정도로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
그랬던 구례가 지자체의 적극적인 인구 유입 정책으로 최근 인구 감소세를 벗어나 증가하는 역전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귀농·귀촌인구의 증가추세로 인해 2013년 인구가 2만7115명으로 늘어나며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올해 6월 말 현재 2만7229명까지 그 흐름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인구 3만 회복에 대한 군민의 기대감마저 높이고 있다.
이는 구례군의 도시민 인구 유입을 위한 전원마을 조성사업과 농촌종합개발사업, 도시민 농촌유치지원사업 등 지역의 정주여건 개선과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노력이 빛을 발하고 있기 때문. 특히 구례군민의 노력으로 유치해 용방면에 조성된 대규모 친환경식품 가공유통단지인 ‘구례자연드림파크’는 올해 4월 개장해 약 300여명의 일자리를 제공, 인구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세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서기동 군수는 “2018년까지 귀농·귀촌 1000세대 유치를 목표로 전원마을 500세대 조성,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조성, 구례 자연드림파크 2단지 추가 조성을 통해 귀농·귀촌하기 좋은 구례를 만드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자타가 공인하는 ‘귀농·귀촌 1번지’로 자리 잡은 전북 진안군은 2013년 11월 말 기준으로 최근 6년간 700가구에 1512명이 정착했다. 특히 지난해만 146세대 274명이 정착했으며, 이 중 50~60%가 40~50대 젊은 층이다. 올해도 6월 말까지 진안군에 정착한 귀농·귀촌인은 101세대에 174명이다.
이처럼 도시민의 유입이 크게 늘어난 데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귀농·귀촌 정책을 펼친 것이 주효했다. 열악한 지자체 재정을 극복하고 도시민을 유치하기 위해 농식품부 공모사업을 8년째 지속하면서 14개의 귀농·귀촌인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경림 진안군 마을만들기 담당자는 “재정이 열악한 현실에서 현금 지원보다는 귀농·귀촌인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고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멘토제도를 뒷받침한 것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낳아 잘 키우자’…출산장려= 군정 1목표를 ‘1만인구 늘리기’로 삼고 있는 경남 창녕군은 정말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2013년 말 창녕군 인구는 6만3447명으로 전년보다 481명 늘었다. 경남도 10개 군 단위 중 인구 증가수는 1위, 귀농·귀촌인구는 2위로 나타났다.
2009년 이전까지만 해도 창녕군의 인구는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하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서 2010년 462명, 2011년 776명, 2012년 476명, 2013년 481명으로 4년 동안 총 2195명이 늘었다.
창녕군의 인구 늘리기 비법은 다름 아닌 전국 최고 수준의 출산과 전입 장려정책, 유망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귀농·귀촌 육성 등 다양하고 내실있는 인구증가 시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출산장려금의 경우 첫째자녀는 50만원, 둘째 100만원, 셋째는 500만원을 비롯해 출산축하금으로 10만원, 20만원, 3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2명 이상 전입한 가구에는 30만원을 전입정착금으로 주고 있다.
아울러 셋째아이 이상의 자녀와 2명 이상 가족이 전입한 가구의 고등학생에게 입학금과 수업료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전입장려 지원책으로 국적취득자 지원금(50만원), 영농정착금(500만원), 빈집정비 지원금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제주 농가인구 증가=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13년, 통계로 본 제주의 어제와 오늘’에 따르면 2012년 제주 농가인구는 11만3298명으로 2008년의 10만2192명보다 10.9% 늘었다. 농가인구의 증가는 제주 농촌의 고령화율도 낮췄다. 2008년의 38.6%였던 제주 농촌의 고령화율은 2012년 37.9%로 떨어졌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내리막을 걷고 있던 제주의 농가인구는 2008년을 바닥으로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는 귀농·귀촌인구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 제주도가 최근 집계한 도내 귀농·귀촌인구는 2008년 48명에서 2010년 245명, 지난해에는 1044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서귀포시의 경우 2012년 말 823명이었던 귀농·귀촌자가 올해 6월 말에는 1657명으로 늘었다.
제주에 귀농·귀촌자가 몰리는 것은 귀농·귀촌 희망자에 대한 행정기관과 농협, 민간단체간의 협조체제와 역할분담이 유기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청이 귀농·귀촌자에게 주택수리비 등 맞춤식 행정지원을 하면 제주도농업기술원과 제주농협은 관련 교육과 사후관리를 맡고, 새농민회제주도지회와 제주귀농귀촌협동조합,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등 민간단체는 동료의 입장에서 멘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안광희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조합장은 “제주로 귀농·귀촌하는 사람들은 기존의 자기 일을 하면서 농촌생활을 하기에 ‘문화이민자’로 불리고 있다”며 “귀농·귀촌인구가 제주 농촌사회의 새로운 바람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