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의 첫 임신을 15~16개월령에 맞춰 24~25개월령에 송아지를 생산토록 하는 것이 번식효율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산유 능력검정에 참여한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젖소의 첫 분만 시기가 2004년 27.2개월령에서 2009년 27.4개월령, 2013년 28.1개월령으로 점차 늦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17개월령 이후 첫 수정(첫 분만 26개월령)을 하면 15~16개월령에 비해 수태율과 순산율 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15~16개월령에 첫 임신을 한 젖소의 수태율과 순산율은 57.8%와 64.9%로, 17개월령 이후보다 3~4.8%, 4.8~12.9%가 각각 높았다. 또 3회 이상 수정을 시켜도 수태가 되지 않는 비율 역시 11.3%로 17개월령 이후(22%)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광수 농진청 낙농과 연구관은 “일부 농가에서 난산이나 대사성 질환을 우려해 수정시기를 늦추고 있지만 번식효율과 생존율 등을 고려하면 수정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