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의무수입쌀 들여와 저가로 공급 글의 상세내용
제목 의무수입쌀 들여와 저가로 공급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9-02 조회 480
첨부  
의무수입쌀 들여와 저가로 공급

최근 5년간 6000억 손실


 


포토뉴스

 최근 5년간 의무수입쌀을 저렴하게 처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이 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수입쌀은 쌀시장 전면개방(관세화)을 미루는 대가로 우리나라가 반드시 수입해야 하는 쌀을 말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2013년 가공용 의무수입쌀 1㎏을 도입·보관하는 데 평균 882원이 소요됐다. 정부는 이 쌀을 떡·뻥튀기를 만드는 국내 가공업체에 533원에 공급해 349원의 손실을 봤다. 이런 식으로 최근 5년간 발생한 손실액은 ▲2009년 1296억2800만원 ▲2010년 685억5200만원 ▲2011년 2071억3800만원 ▲2012년 460억5700만원 ▲2013년 823억8800만원 등 모두 5337억6300만원으로 집계됐다.



 밥쌀용 수입쌀 도입·판매에 따른 손실도 컸다. 정부는 2007년까지 밥쌀용 수입쌀에 수입차익(마크업)까지 붙여 공매하다 2008년부터는 수입차익은커녕 도입원가보다 낮게 공매했다. 수입물량이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판매가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2009년 437억7800만원 ▲2010년 488억600만원의 손실을 봤고, 2011년에는 173억3800만원의 이득을 남겼다. 2012~2013년에 수입한 쌀은 아직 판매가 끝나지 않아 정확한 손익이 집계되지 않았다. 2012~2013년 밥쌀용을 제외하더라도, 최근 5년간 수입쌀을 도입·판매하는 과정에서 6090억9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문제는 수입쌀 판매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농업예산인 양곡회계로 메워진다는 점이다.



한푼의 농업예산이 아쉬운 상황에서 외국쌀을 수입하는 데 연간 1000억원 이상의 농업예산이 쓰인 셈이다.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쌀시장 전면개방 과정에서 수입쌀을 북한에 지원하거나 해외에 원조할 권한을 얻어내고, 양곡회계 손실액을 남북협력기금이나 대외경제협력기금으로 메우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