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식품부, 농식품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설명회·전문가 간담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식품부, 농식품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설명회·전문가 간담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9-03 조회 480
첨부  
농식품부, 농식품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설명회·전문가 간담

시설원예·과수·양돈 320억 지원


생산성 향상·일손 절감에 ‘효과’


설치 농가 만족도 높아

이달말까지 추가 접수

홍보·설비표준화 과제


포토뉴스

융복합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시설원예작물 생장환경 자동조절시스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 언제 어디서나 하우스 내외부를 작물의 최적 생육조건으로 설정·제어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28일 경남 진주 소재 경남도농업기술원에서 농식품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설명회와 전문가 간담회를 잇따라 가졌다. 사업설명회는 농식품 ICT 융복합사업을 농업인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자리로, 200여명의 농업인들이 몰려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ICT사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모아졌다. 농식품 ICT 융복합사업의 추진현황과 경제성, 사업활성화 과제 등을 알아본다.



 



 ◆시설원예·과수·축산에 지원=농식품 ICT 융복합사업은 3년간(2010~2012년)의 시범사업을 거쳐, 올해 처음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올해 사업비는 국고·지방비·자부담을 합해 모두 320억원이다. 지원은 시설원예(스마트 그린하우스), 과수(스마트 융합 과수원), 양돈(스마트 웰빙 양돈장) 등 3개 부문에 한해 이뤄진다. 시설원예와 과수의 지원조건은 국고보조 20%, 융자 30%, 지방비 30%, 자부담 20%다. 양돈은 국고보조 30%, 융자 50%, 자부담 20%로, 원예와 과수보다 농가부담이 상대적으로 많다.



 표준사업비는 시설원예가 0.33㏊(1000평)에 2000만원, 과수가 1㏊(3000평)에 2000만원, 양돈이 1000마리 기준 1억원이다. 농가당 사업비 상한액은 시설원예와 과수가 2억원, 양돈이 5억원이다.



 시설원예와 과수는 농식품부가 3월 사업신청을 받은 결과 목표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첨단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시설원예와 과수 농가들이 신청을 꺼린 것이다. 첨단농가가 많은 양돈은 목표보다 신청이 많았으나 적합성 검증에서 다수 탈락한 상태다. 박경아 농식품부 정보화담당관은 “9월 말까지 추가로 사업신청을 받을 것”이라며 “신청을 원하는 시설원예·과수·양돈 농가는 지자체에 신청하면 되고, 선정되면 무료로 컨설팅도 해준다”고 설명했다.







 ◆ICT 활용, 생산성 향상과 일손 절감에 효과=ICT 융복합사업은 농식품 생산·유통·소비 등의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하는 사업이다. 시설원예는 복합환경제어시스템, 과수는 정보통신(IT) 융합 과수재배관리시스템, 양돈은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생산성 향상과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 시설비 부담이 있지만, ICT 융복합시설을 설치한 농가들의 만족도는 높다. 생산성 향상과 일손 절감, 자동이력관리 등 이점이 많기 때문이다.



 박중묵 경남파프리카생산자연합회장은 “ICT를 접목한 복합환경제어시스템으로 파프리카 농사를 짓는데, 생산량이 기존 방식보다 20% 정도 높다고 확신한다”며 “일손도 크게 덜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영주의 한 사과농가도 ICT를 활용해 병해충을 사전 차단하고, 적기 관수를 통해 결실률을 기존보다 10~20% 향상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농가들은 농장을 비우더라도 스마트폰을 활용해 재배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큰 장점으로 꼽고 있다.







 ◆해결돼야 할 과제 많아=전문가 간담회에서는 농식품 ICT 융복합사업에 대한 홍보부족이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혔다. 용어가 생소하고 어려워서인지, 농가들과 지자체 공무원이 ICT 사업을 낯설어한다는 것.



 김태완 한국시설원예ICT융복합협동조합 이사장은 “지자체 공무원이 잘 모르는 분야라는 이유로 농식품 ICT 사업추진을 꺼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농가와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농식품 ICT 사업에 대한 홍보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또 농가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설비와의 호환성 문제도 제기됐다. 민영봉 경상대 교수는 “ICT 융복합시설 설치때 농가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각종 장치와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 없는데다, 기존장비를 설치한 회사가 문을 닫으면 호환성 문제로 난감한 상황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표준화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 ICT 표준화 작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