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귀농·귀촌정책이 농촌 인구문제의 해법 | ||||
---|---|---|---|---|---|
작성자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5-06-16 | 조회 | 3274 |
첨부 |
![]() ![]() ?atchFileId=FILE_000000000109509&fileSn=3 별첨1.hwp ![]() ?atchFileId=FILE_000000000109509&fileSn=2 관련사진3.bmp ![]() ?atchFileId=FILE_000000000109509&fileSn=1 관련사진2.bmp ![]() ?atchFileId=FILE_000000000109509&fileSn=0 관련사진1.bmp |
||||
|
|||||
귀농·귀촌정책이 농촌 인구문제의 해법
-청양군 인구 동태에서 드러나 청양군농업기술센터(소장 강상규)에서 올해 5월까지의 인구증가동향 집계를 낸 귀농·귀촌인구현황에서 농어촌의 심각한 고령화의 양상과 그 해법이 드러났다. 올해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4월 14일)한 65세 이상 고령 농가인구 비중은 지난 2013년 기준으로 전체 농가인구 284만7천명 가운데 37.3%(106만2천명)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고령 농가인구 비율은 지난 1970년 4.9% 수준이었지만 1980년 6.8%, 1990년 11.5%, 2000년 21.7%, 2010년 31.8% 등 급증추세다. 이미 초고령화 사회로 불리는 일본 농촌에 비해서도 고령화가 더 진행된 상황이다. 지난 2013년의 경우 농가인구의 65세 이상 비율이 37.3%로 초고령사회로 분류된 일본의 36.1%를 넘어섰다. 더구나 출산에 의한 인구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농촌의 20~49세의 젊은 농가인구 비율은 지난 1990년 33.9%, 2000년 32.3%, 2010년 25.9%, 2013년 21.1% 등으로 해마다 감소 추세다. 청양군 귀농·귀촌 관계자는 "농촌고령화는 농업생산력 악화 등 지역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토의 불균형 발전을 초래하는 만큼 고령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5월까지의 인구증가동향 집계에서 여실히 그 상황이 드러났는데, 청양군은 2014년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이 30.9%로 타 농촌보다 심각하지는 않지만 역시 초고령사회에 속한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청양군의 사망자 수는 231명이었고 출생이 86명으로 145명의 인구감소가 벌어질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1월부터 5월까지 청양으로 귀농·귀촌 등 외부 유입인구가 122명으로 겨우 현상유지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청양군 2015.01~05 귀농·귀촌 추산〕:별첨1 청양군은 적극적인 귀농·귀촌 정책으로 2012년부터 인구감소가 개선이 되었고, 올해도 제7기 귀농귀촌학교, 도시민 창업교육, 수도권 예비 귀농귀촌 맞춤형교육 등을 통해 실제 40여명 이상이 청양으로 올해 이주했으며 다른 경로로도 적극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귀농귀촌지원센터 담당자는 전국적으로 귀농·귀촌이 수적으로는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성공적인 상황이라고 보기는 이르다는 지적을 하였다. 우선 귀촌 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50대 비중이 상당히 높아 생산력 확보의 단기성이 우려되며, 전입가구원 수 비중이 아직 1∼2인 가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점, 또 농사를 지으려는 귀농 가구가 농촌 휴양 차원의 귀촌가구 수보다 적은 점이 우려할 상황이라고 하였다. 농촌 인구의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지역 사회 붕괴가 우려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고령화 상황이 지속되면 농업 경제가 흔들리게 되고 나아가서는 지역사회 기반이 붕괴될 수 있는 만큼 '귀농귀촌' 등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귀농·귀촌으로 초고령화사회가 된 농촌의 경제 생산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예비 귀농·귀촌인 맞춤형 교육에 관한 사항은 청양군 귀농귀촌 지원센터(940-4741)로 문의하거나, 청양군 귀농귀촌 홈페이지(return.cheongyang.go.kr) 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
다음 | |
---|---|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