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청양군, 말벌ㆍ예초기 안전사고 주의로 안전한 벌초 당부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청양군, 말벌ㆍ예초기 안전사고 주의로 안전한 벌초 당부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8-31 조회 3542
첨부 bmp 파일명 : 관련사진2.bmp 관련사진2.bmp  [0.164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11107&fileSn=1 관련사진2.bmp bmp 파일명 : 관련사진1.bmp 관련사진1.bmp  [0.164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11107&fileSn=0 관련사진1.bmp
관련사진1.bmp 관련사진2.bmp
청양군, 말벌ㆍ예초기 안전사고 주의로 안전한 벌초 당부
- 벌초! 예초기 안전사용 사전준비로 사고예방을~ -
- 벌에 쏘이고 뱀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 필요 -
청양군농업기술센터(소장 강상규)는 농작업기의 일종인 예초기를 이용한 벌초작업이나 논밭두렁 제초시 우려되는 안전사고 예방을 적극 당부하고 나섰다.
가을철로 접어드는 처서가 지나면서 논밭두렁의 무성한 풀을 베거나, 선산을 찾아 조상의 묘를 벌초를 하거나 돌아 보게 된다. 벌초는 보통 주말을 이용하여 벌초를 하는데, 요즘에는 대부분 예초기를 사용하고 있다. 추석을 앞둔 이번주부터 벌초객들이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사전준비 없이 작업을 하다가 말벌에 쏘이는 피해를 보거나 뱀에 물리거나 예초기ㆍ낫등을 잘못 사용해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해마다 늘고 있다. 예취기 등 도구를 이용하녀 제초작업을 하거나 벌초객들은 사고예방 요령과 간단한 처치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도시에 살면서 예초기 사용요령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을 잘 숙지하지 않은 도시민들이 벌초를 위하여 1년에 한두번 도구를 접하면서 농작업을 하지 자주하지 않던 도시민들의 안전사고 예방이 더 요구된다.
잡초를 제거하거나 벌초를 할 때 사용하는 예초기는 충분히 사용법을 숙지한 뒤 사용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풀과 나무가 무성한 선산에 들어가 벌초작업을 할 때에는 혼자서 가지 말고 여러명이 같이 동행하여 유사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급약품을 준비하여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빨리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작업하고자 하는 곳에 벌집이 있는지 살펴보고 벌에 쏘였을 때는 벌침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가능하면 얼음찜질로 독액이 흡수되는 것을 줄여줘야 한다. 벌독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은 온몸 두드러기와 호흡곤란, 쇼크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더욱 더 주의해야 한다.
벌의 유인할 만한 향수나 화장품, 음주, 헤어스프레이, 요란한 색깔의 옷을 피하는 것도 피해 예방법이 된다.
그리고 뱀에 물렸을 때는 환자를 눕히고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흥분하거나 걷거나 뛰면 독이 더 퍼진다. 물린 부위는 심장보다 아래쪽에 둬야 하며 팔에 물린 경우 반지와 시계를 빼는 게 좋다. 물린 지 30분이 지난 후에는 독을 빨아내도 아무런 효과가 없으므로 빠른 시간내 입으로 상처를 빨아내 독을 최대한 제거하는 게 좋다. 독사에 물린 환자에게 먹을 것을 줘서는 안되며 특히 술은 독을 빨리 퍼지게 하므로 치명적이다.
특히, 예초기ㆍ낫등 기계장비의 안전사고 예방으로 장갑이나 보안경 등 안전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사고발생시 흐르는 물이나 소독약으로 상처를 씻어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상처부위에 흙이나 된장, 담배가루 등 이물질을 바르는 것은 2차감염 우려가 있으니 좋지 않다. 출혈이 심할 경우 출혈부위에 수건을 대고 직접 압박하는 것이 좋다.
한편, 청양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안전한 제초를 위하여 풀이 무성한 산이나 들에서는 혼자 작업하지 않고 여러사람이 같이 작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사전에 피해예방 조치를 한 후 제초작업을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