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청양군, 벼 먹노린재 적기 예찰·방제에 총력!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청양군, 벼 먹노린재 적기 예찰·방제에 총력!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06-27 조회 489
첨부 jpg 파일명 : 피해증상.jpg 피해증상.jpg  [0.01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34162&fileSn=1 피해증상.jpg jpg 파일명 : 먹노린재.jpg 먹노린재.jpg  [0.013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34162&fileSn=0 먹노린재.jpg
먹노린재 피해증상
먹노린재 등 돌발병해충 방제 당부

청양군농업기술센터(소장 강상규)는 작년 벼에 가장 큰 피해를 주었던 먹노린재의 차단을 위해 현장 예찰과 적기방제 지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1일부터 25일까지 화성면, 비봉면 등 지난해 먹노린재가 다수 발생하였던 지역을 중심으로 예찰을 실시하여, 일부 포장에서 포기당 1∼2마리를 발견하였다.

벼 잎을 빨아먹는 ‘벼 먹노린재’는 약충과 성충이 낮에는 벼 포기 아래부위에서 줄기를 흡즙하며, 논둑에 가까운 논 가장자리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외관상 이화명충의 피해와 유사한 피해증상을 보인다. 피해를 입은 벼 잎은 가로로 불규칙한 무늬가 생기거나 꺽어지고 속잎이 누렇게 말린다. 피해가 심한 논의 벼는 키가 작아지고 분얼이 억제되며 말라 죽는다.

벼 등 화본과 작물이 기주이며, 낙엽 및 말라죽는 잡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6월 초부터 본논으로 이동하여 7월 초순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먹노린재는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줄기 속이나 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어 방제하기 까다로우므로 논물을 뺀 후 해질 무렵 적용 약제를 충분히 살포해야 하며, 본 논으로 이동하는 오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는 방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한편, 청양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벼 병해충 발생 최소화를 위한 먹노린재 방제적기는 6월하순∼7월상순(1차), 8월상순(2차)으로 월동 먹노린재의 산란·증식 전에 1차 방제를 하여 방제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