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의 틀 에서 한국도 그리고 쌀 농업도 그 한축에 함께 끼어있기에 경쟁력을 생각해야하는것이다.
그렇다면 경쟁력에서 뒤 지는 요인은 무엇인가
기계화로 농업인 1인당 경지면적의 규모화,
단위면적당 생산량,
단위면적당 경영비 로 비교할수 있다.
그렇다면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세계수준 보다는 상위한다. 단지 1인당 경작규모 확대와 기계화이다.
우리는 이 약점의 보완은 미질의 향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가품질 로 부가가치를 높여야한다.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
미질향상이다 미질향상은 단백질함량을 낮춰야하고 아밀로스함량을 기준치이상 향상시키고, 복백미. 절미,
(동할미)적고 적정수분함량유지보관에의한 도정이다.
미질향상은 전국적으로 입증된 그리고 특허받은 한거름으로 사용하면 살포노동력 절감까지도 되니
일석이조가 아닌가요, 또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태풍으로 다된농사 도복으로 망치는경우가 있다
한거름은 도복에 강하다.
한거름은 유기액상이므로 비효가 오래가므로 가지거름(분얼비를 줄필요가없다.
벼가 단단하게 ㅈ자라므로 병충에에 강하여 농약도 덜 사용한다 그러니 경영비가 적게들고 친환경적이니
안전한 먹거리가 생산된다
농업인은 선진농업인이 되기위하여는 귀를 열고 새 농자재를 빨리 받아들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