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고추 건전 육묘관리 요령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21-02-15 | 조회 | 1099 |
첨부 |
![]() ![]() ?atchFileId=FILE_000000000143843&fileSn=0 고추 건전육묘관리 요령(비대면영농정보자료실).hwp |
||||
고추 건전 육묘관리 요령
□ 파종상 적정 환경관리 가) 온도관리 - 발아 후 상내 온도관리 • 주간 25~27℃, 야간 18~20℃ 정도 변온관리(지온 23~25℃ 유지) - 이식작업후 초기 주간에는 27~28℃. 야간에는 20~25℃ 중·후기 주간에는 25℃내외, 야간에는 18℃내외로 관리 나) 수분관리 - 충분한 습도를 유지한 후 발아 생육함에 따라 습도를 점차 낮추고 오전 10~12시 사이에 20℃ 정도의 온수를 이용하여 관수 다) 환기관리 - 본 엽이 나온 후에는 30℃이상 되지 않도록 적정 온도, 습도를 유지 하여 주고 환기 시 찬바람이 직접 고추묘에 닿지 않도록 주의 - 보온위주로 관리하기 때문에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에 유의하고 고온이나 저온장해가 발생할 때는 생육에 따라 요소 0.2~0.3% 엽면시비가 유효함.
□ 육묘 중 병해충 관리 - 육묘 기간 중 잘록병, 진딧물, 총채벌레, 바이러스, 세균점무늬병, 역병 등 병해충이 발생하면 아주 심은 후 생육에 영향을 미침 - 모잘록병은 지온이 낮거나 모판이 다습할 때 많이 발생, 오염되지 않은 상토나 자재 사용, 관수량 조절, 환기로 과습을 피하며, 25℃로 관리 ※ 병든 모는 제거하고, 육묘상 전체를 적용약제로 방제 - 육묘 중에 환경관리를 잘하고, 주기적인 정밀 예찰에 의한 방제를 하여 건전한 모를 생산하는 것이 최선의 목표임 - 육묘 후기에는 진딧물, 총채벌레 등 관리 철저, 아주심기 전 방제 - 바이러스가 육묘기에 감염하면 체내 바이러스 밀도가 높아져 정식 후 정상 수확이 어려워지므로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 고추약한모틀바이러스(PMMoV), 잠두위조바이러스(BBWV2) 등 ※ 육묘 중 진딧물, 총채벌레 방제 철저, 육묘장 주변 잡초 제거 등
- 고추 세균점무늬병(반점세균병) ▶ 잎에 담갈색 작은 점무늬 증상, 병 무늬 주변에 황색 띠 형성, 잎 가장자리 또는 잎맥에 수침상 형성 * 종자 열수 처리로 예방 (영농활용: 2015.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고추 종자를 38℃ 물에 10분간 침지(전처리) 후 열수 처리(52℃나 55℃에서 30분간 침지) 후 파종 – 방제 효과 99% ·열수 처리온도가 50℃ 미만일 때는 방제 효과 감소 ·열수 처리온도가 55℃일 경우 고추 종자 발아가 다소 지연됨 * 육묘 중에 발생할 때는 발견 즉시 반드시 폐기(유통 금지) - 역병은 육묘에서 수확기에 이르는 전 생육 기간에 걸쳐 뿌리, 줄기, 잎, 과실 등 모두에서 발생 • 묘상에서는 처음 줄기 아랫부분이 짙은 녹색의 수침상으로 되어 점차 잘록해지고 줄기와 잎은 약간 누르스름해지면서 고사함 • 벤치를 사용해 육묘, 오염되지 않은 상토 사용, 저항성 품종 선택 • 육묘상에 발생하면 동수화제 등과 같은 등록 약제로 방제
❍ 이식시기와 간격 - 이식 시기 : 파종 후 30~40일 전후(본엽 3~4매) - 상면 육묘시는 가능하면 8×10㎝ 정도로 넓게 이식 - 폿트 육묘시는 시설재배용은 높이 12~13㎝, 지름 12~15㎝ 크기의 개별폿트 이용, 노지재배용은 16공 연결폿트, 32공 연결폿트가 좋음
❍ 모 웃자람 방지 요령 및 모 굳히기 - 알맞은 모 간격 유지 - 적정 질소질 시용 및 적정 관수 - 충분한 햇빛을 받도록 육묘상 배치 - 야간온도를 높지 않게 관리(20℃ 내외) - 정식전 묘상관리 • 묘 굳히기(硬化) : 정식 7~10일 전부터 온상문을 열어 모굳히기 실시 (외부기온이 15℃이상 일때 실시) • 물주기 : 모굳히기 기간에는 가급적 물을 주지 않아 건조에 견디는 힘을 길러주고 정식 2~3시간 전에 충분히 관수 • 엽면시비 : 모의 영양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요소 0.2~0.3%로 5~6일 간격으로 2~3회 엽면시비 하거나, 제4종복비로 관주 또는 엽면시비
❍ 아주심기 전 비배관리 - (시비량) 품종, 토양 비옥도, 재식 주수, 전작물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 지는데, 가급적 토양검정을 통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밑거름 주는 시기) 퇴비와 석회는 밭 경운 2~3주 전에 시비하고 화학비료는 이랑만들기 7일 전에 뿌림 - (10a당 표준시비량) 완숙퇴비 3,000kg, 석회 100~200kg, 화학비료는 질소 19kg, 인산11.2kg, 가리 14.0kg, 붕소 2kg을 골고루 뿌려줌 • 인산은 전량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질소와 가리는 60%는 밑거름, 나머지 40%는 3회로 나누어 웃거름으로 시용함.
❍ (멀칭-지온확보) - 멀칭비닐은 아주심기 3~4일전에 미리 덮어 땅의 온도를 높여주어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도록 함.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