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HEAD><META content="TAGFREE Active Designer v2.0" name=GENERATOR></HEAD><BODY style="FONT-SIZE: 10pt"><!--StartFragment--> <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COLLAPSE: collapse" cellSpacing=0 cellPadding=0 border=1><TBODY><TR><TD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PADDING-RIGHT: 1.4pt; BORDER-TOP: medium none; PADDING-LEFT: 1.4pt; PADDING-BOTTOM: 1.4pt; BORDER-LEFT: medium none; PADDING-TOP: 1.4pt; BORDER-BOTTOM: medium none" vAlign=center width=546 height=1090><P class=HStyle0 style="MARGIN-BOTTOM: 4pt; LINE-HEIGHT: 120%"><SPAN style="FONT-FAMILY: "굴림""><A name=""><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SIZE: 12pt"><SPAN style="FONT-SIZE: 12pt">에이즈는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으로 세포면역기능이 현저하게 낮아져 희귀질환 등 다른 중증 질병으로 확산시키는 병이다. 전염의 99%는 감염인과의 성접촉으로 인한 것이다. 에이즈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을 알아봅시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① 에이즈(AIDS)에 걸리면 반드시 죽는다? </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에이즈는 감염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죽는 질병이 아니다. </SPAN><BR><SPAN style="FONT-SIZE: 12pt">80년대에 화려한 플레이와 함께 AIDS에 감염된 것으로 유명한 미국의 농구선수 매직 존슨도 지금까지 꾸준히 건강을 유지하며 잘 살아가고 있으며, 에이즈 치료제의 발달로 치료제를 꾸준히 복용하고 세심하게 건강관리를 한다면 자신의 천수만큼 살 수 있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② 에이즈(AIDS)에 감염되면 반드시 초기증상이 나타난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약 50%의 감염인에서만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SPAN><BR><SPAN style="FONT-SIZE: 12pt">에이즈에 감염되면 3~6주 후에 독감과 비슷한 고열, 통증, 구토 및 설사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모든 감염인에게 나타나지 않고, 다른 질병에서도 흔히 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기관의 검사를 통해 감염여부를 확인해야 한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③ 에이즈(AIDS)에 감염된 사람은 얼굴만으로 알 수 있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얼굴만으로는 감염 여부를 알 수 없다. </SPAN><BR><SPAN style="FONT-SIZE: 12pt">"에이즈 증상=붉은 반점"으로 생각해 단순한 피부질환을 에이즈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HIV 감염 여부는 얼굴이나 몸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파악할 수 없다. 에이즈에 감염되었어도 실제로 자신이 감염딘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많고, 보통사람들처럼 건강해 보일 수 있다. HIV 감염 여부는 반드시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④ 에이즈(AIDS)는 동성애를 통해서만 감염된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에이즈는 동성애자, 이성애자 등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감염인의 체액에 노출되면 감염될 수 있다. 동성애자와 성관계를 했다고 해서 감염되는 것이 아니라 감염인과의 콘돔없는 성관계를 통해 감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것도 성관계를 1번 가질 때 HIV 바이러스에 감염 될 확률은 1% 미만이다. </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⑤ 에이즈(AIDS) 감염인과 일상적인 접촉만으로도 감염된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에이즈는 감염인의 혈액, 성접촉(정액, 질분비액), 모유 등의 체액을 통해서만 감염되는 질병이다. 따라서 식사를 같이 하거나 수영장, 목욕탕 사용 및 악수, 포옹, 가벼운 입맞춤과 같은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의 위험성이 없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⑥ 모기를 통해서도 에이즈(AIDS)에 감염된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모기를 통해서는 에이즈에 감염되지 않는다.</SPAN><BR><SPAN style="FONT-SIZE: 12pt">아직까지 곤충에 의한 에이즈 감염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감염인의 대부분은 20세~50세의 남녀이다. 만약 모기로 감염이 된다면 모든 연령대의 감염 비율이 비슷할 것이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⑦ 헌혈을 하면 에이즈(AIDS) 감염여부를 알 수 있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헌혈을 하여도 에이지 감염 여부는 알 수 없다. </SPAN><BR><SPAN style="FONT-SIZE: 12pt">국립혈액원에서는 헌혈된 모든 혈액에 대해서 에이즈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본인에게 감염 여부를 통보하지는 않는다. 헌혈자의 정보 유출 방지와 잘못된 헌혈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주지 않기 위해 1997년 3월부터 에이즈 검사 결과를 통보하지 않고 있다.</SPAN><BR><BR><BR><SPAN style="FONT-SIZE: 12pt">오해 ⑧ 에이즈(AIDS) 감염인은 국가에서 격리시킨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2pt">진실 : 에이즈 감염인을 따로 격리시키지는 않는다. </SPAN><BR><SPAN style="FONT-SIZE: 12pt"><SPAN style="FONT-SIZE: 12pt">정부는 1998년 2월 감염인 인권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에 실려있는 격리보호조항을 폐지시켰다. 현재 정부는 에이즈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고자 노력하고 쉼터 등을 통해 감염인들이 자활할 수 있도록 </SPAN>지원하고 </SPAN></A>있다.</SPAN></SPAN></SPAN></P></TD></TR></TBODY></TABLE><P class=HStyle0><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COLLAPSE: collaps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48 border=1><TBODY></TBODY></TABLE></P></BODY></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