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동기화 과정 교육시행
한국농어촌공사 농산업도농교류지원본부 역량강화팀
1. 추진목적
향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추진코자 하는 지역 주민 및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상향식 농촌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이해와 준비에 필요한 기본역량을 사전에 갖추도록 함
2. 추진경위
□ 2009학년도농교류활성화지원 세부시행계획 승인
(농림수산식품부 도농교류과-287, ’09.01.21)호
□ 2009년도 농촌지역개발 인적역량강화사업 교육대상자 추천
(농림수산식품부 도농교류과-778, ‘09.03.03)호
□ 시ㆍ도별 교육대상자 신청분 취합 (公社, ‘08. 3. 5~ 3. 25)
3. 시행계획
□ ‘09년 교육계획
○ 계획인원 : 510명 (30명 × 17반)
□ 교육 시행계획
○ 금회 교육시행 - 교육신청자 : 456명 - 16반 9회 시행
○ 추가모집(하반기) 및 교육시행 - 금회 시행 후 하반기 추가 모집 시행 계획 : 54명
□ 교육기간 : 1박2일 (합숙)
□ 교육훈련비 : 국고지원 (단, 숙박비 20,000원 자부담)
□ 금회 교육대상자 : 456명
□ 과정구성
○ 정책특강 (60분, 시ㆍ도 담당자) - 정부의 농촌정책 등 사업관련 정책에 대한 설명
○ 리더의 역할과 인적 역량강화 (120분, 전문가)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서 리더의 역할과 봉사의 필요성 - 권역 추진목표 및 인적 역량강화의 중요성 - 권역주민의 관심도 제고와 잠재적 갈등요인의 해소 방안]
○ 권역 핵심자원 및 활용기법 (120분, 전문가) - 농촌자원의 이해 및 활용방안 - 현재 시행중인 권역의 사례를 통한 자원 활용방안 - 사업추진 시 기본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주요내용
○ 선행권역 사례발표
(90분, 선행권역 리더)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필요성 - 권역 내 다양한 계층(부녀회, 노인회 등)참여와 역할의 필요성 - 사업을 어렵게 한 요인은 무엇이었으며 그 결과에 대하여 - 어려움을 극복한 과정 및 비결 - 권역사업을 이끌어가는 리더의 역할과 자세에 대하여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시작하면서 권역의 달라진 모습들 (주민들의 의식변화, 삶의 질 개선, 경제적 측면에서 등) - 권역의 미래에 대한 전망 -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핵심요인으로 꼽을 수 있는 점 - 지도자 스스로의 지속적인 교육과 학습 등 역량강화의 필요성
○ 선행권역 현장견학 (150분, 권역리더) - 선행권역 현장견학, 시설물 견학 및 질의답변
○ 계획수립 기법 (120분, 한국농어촌공사) - 사업준비 등 제안서 작성 요령 설명
○ 하반기 참가 강사진은 1차 시행 후 확정
4. 추진체계
□ 농림수산식품부
○ 예산지원 및 교육총괄
□ 시ㆍ도
○ 교육생 선발 추천 및 참석 계도
○ 정책강의 시행
□ 시ㆍ군
○ 교육생 선발 추천 및 참석 계도
○ 관내 권역에서 요청시 교육자재 등 지원
□ 한국농어촌공사 농산업도농교류지원본부
○ 계획수립 및 교육시행 주관 5. 행정사항
□ 시ㆍ도(시ㆍ군) 협조요청 사항
○ 시ㆍ군에서는 확정된 교육대상자에게 교육일정, 장소 등을 사전 공지 하여 교육당일 차질 없이 교육에 참석토록 조치 요망
○ 교육대상자는 당일 10시까지 지정교육장소에 도착하여 등록 - 교육대상자 교육참가비 20,000원(숙박비)는 등록시 납부 - 합숙생활에 필요한 간소복, 수건, 세면도구 등은 개인별로 지참
○ 교육수료는 총 교육시간의 80%이상 출석한 경우 인정
○ 교육장이 속한 권역에서 교육운영에 필요한 비품(의자, 책상) 요청시 협조 요망
○ 하반기 교육계획 세부일정 등은 추후 수요조사를 시행하고 교육인원을 확정하여 통보 할 계획임.
※기타 문의사항은 한국농어촌공사 이태경(011-504-5929)과장에게 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