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사정이나 수신 상태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공(환경부/한국환경공단)
청양군청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제목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현황 정보공개 1, 2, 3차 | ||||
---|---|---|---|---|---|
부서명 | 산림축산과 | 등록일 | 2021-05-26 | 조회 | 560 |
첨부 |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현황 정보공개 1차
1. 근거 :「가축전염병예방법」제3조의 2,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의2 2. 가축전염병명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3. 발생농장 및 농장소재지 ◦ OO농장, 경기도 파주시 4. 축산계열화사업자명 : 없음 5. 가축전염병 발생일 : ʼ19. 9.16. 6. 가축의 종류 및 사육규모 : 돼지 2,369두 7. 가축전염병 예방‧확산 방지를 위한 정보 <시설> ◦ 울타리 일부 훼손 ◦ 울타리 아래 틈새(방목형 축사 주변)(소형 야생동물 침입 가능) ◦ 일부 축사 전실 미설치 ◦ 퇴비사 입구 개방(차단망 미설치) <방역관리> ◦ 농장 부출입구(쪽문) 사용(별도 소독시설 없음) ◦ 대인소독기에 신발소독조만 비치 ◦ 하나의 장화로 모든 축사 출입 ◦ 사료차량 농장 내부 진입 및 차량기사 대인 소독 미흡 ◦ 퇴비사내 야생조류(까치) 및 축사내 쥐 발견 ◦ 왕겨 야외 보관(야생동물 발자국 확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현황 정보공개 2차 1. 근거 :「가축전염병예방법」제3조의 2,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의2 2. 가축전염병명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3. 발생농장 및 농장소재지 ◦ OO농장, 경기도 연천군 4. 축산계열화사업자명 : 없음 5. 가축전염병 발생일 : ʼ19. 9. 17. 6. 가축의 종류 및 사육규모 : 돼지 2,290두 7. 가축전염병 예방‧확산 방지를 위한 정보 <시설> ◦ 축사에 전실 미설치 <방역관리> ◦ 농장 부출입구(쪽문) 사용(별도 소독시설 없음) ◦ 대인소독기에 분무소독기만 비치 ◦고추밭 경작자가 축사 사이를 통과, 농장 옆(고추밭쪽) 울타리 문을 자유롭게 열고 출입하는 등 출입자 통제 취약 ◦ 하나의 장화로 모든 축사 출입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현황 정보공개 3차 1. 근거 :「가축전염병예방법」제3조의 2,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의2 2. 가축전염병명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3. 발생농장 및 농장소재지 ◦ OO농장, 경기도 김포시 4. 축산계열화사업자명 : 없음 5. 가축전염병 발생일 : ʼ19. 9. 23. 6. 가축의 종류 및 사육규모 : 돼지 1,761두 7. 가축전염병 예방‧확산 방지를 위한 정보 <시설> ◦ 출입구 주변만 울타리 설치(대부분 자연경계(논,밭)로 야생동물 침입 가능) ◦ 대인소독기 미설치 ◦ 축사에 전실 미설치 <방역관리> ◦ 거점소독시설 미방문 가축(노폐돈)운반차량 출하기사 농장 방문시 방역복 및 비닐장화 미착용(ʼ19.9.9) ◦ 하나의 장화로 농장 및 모든 축사 출입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