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청양군

충남이면 충분해 와wow! 2025~2026 충남방문의해
  • 맑음32℃
    • 미세먼지 -(-)
    • 초미세먼지 -(-)
    information-정보참고사항

    현지 사정이나 수신 상태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공(환경부/한국환경공단)

다함께 만드는 청양, 더불어 행복한 미래

청양군청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강선여 선생 추모제향 봉행 게시판 상세보기 보도자료 내용 상세보기 표 -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정보제공
제목 강선여 선생 추모제향 봉행
작성자 기획감사실 등록일 2024-11-13 조회 54
첨부 jpeg 파일명 : 강선여선생제향2.jpeg 강선여선생제향2.jpeg  [0.614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73775&fileSn=1 강선여선생제향2.jpeg jpeg 파일명 : 강선여선생제향1.jpeg 강선여선생제향1.jpeg  [0.478 mbyte] 바로가기
?atchFileId=FILE_000000000173775&fileSn=0 강선여선생제향1.jpeg
강선여선생제향1.jpeg 강선여선생제향2.jpeg
- 명나라에서 공자상 가져온 조선 중기 학자

조선시대 문신 강선여 선생(호 백천와)을 추모하는 제향이 지난 12일 청양군 운곡면 광암리에서 봉행됐다. 이날 제향에는 진주강씨 문현교대종회(회장 강석동) 후손 60여 명이 참석해 선생의 업적을 기렸다.

강선여 선생(1574∼164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06년 사마시에 합격했고, 161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공조좌랑·예조좌랑·병조좌상 등을 역임했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외직으로 나가길 원해 영천 군수를 역임했고, 1626년에는 면천군수를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나 청양에서 살았다.

그는 1628년 명나라 희종 황제가 서거하자 조선의 조문사절로 방문, 명나라 황제 예종으로부터 공자 화상(畵像)을 받아 돌아오게 된다. 이 공자상 탁본은 현재 대치면 장곡리에 있는 백제문화체험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강선여 선생은 1647년(인조 25년) 74세로 세상을 떠났으나, 그의 강직한 성품과 효행은 당대 문인들 사이에서 칭송이 높았다. 그의 업적은 2018년 청양군 향토유적 제16호로 지정된 신도비에 잘 기록되어 있다.

강석동 진주강씨 문현교대종회장은 “그분을 기리기 위한 신도비에 당대 최고의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이 짓고, 동춘당 송준길이 쓰고, 김수항이 전자(篆字)를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며 “조선시대 명필이 직접 쓴 공적비문이 잘 보존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사진있음) 문화체육과 문화유산팀(940-2486)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기획감사실이(가) 창작한 강선여 선생 추모제향 봉행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담당부서 :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5-07-11
만족도조사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메뉴가 명확하게 구분되는가 / 화면구성이 보기 편리한가 / 응답속도가 적정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