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청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제목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자기혈관 숫자알기 | ||||
|---|---|---|---|---|---|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8-26 | 조회 | 84 |
| 첨부 |
카드뉴스-08.jpg [1.369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7 카드뉴스-08.jpg
카드뉴스-07.jpg [1.101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6 카드뉴스-07.jpg
카드뉴스-06.jpg [0.865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5 카드뉴스-06.jpg
카드뉴스-05.jpg [0.859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4 카드뉴스-05.jpg
카드뉴스-04.jpg [0.866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3 카드뉴스-04.jpg
카드뉴스-03.jpg [0.832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2 카드뉴스-03.jpg
카드뉴스-02.jpg [0.726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1 카드뉴스-02.jpg
카드뉴스-01.jpg [0.98 mbyte]
?atchFileId=FILE_000000000178906&fileSn=0 카드뉴스-01.jpg |
||||
|
|
|||||
|
1/8 질병관리청, 레드서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자기혈관 숫자알기 자기혈관 숫자란? 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수치로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올바른 생활습관 실천을 통해 건강한 혈관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9월 첫째 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 20대부터 시작하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관리! 우리 모두 건강 동행! 2/8 [2023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1. 심뇌혈관질환이란 무엇일까?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과 뇌졸중,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선행질환을 총칭함. 10대 사망원인 순위 및 사망율 (단위: 인구 10만 명당 명) 1순위 사망원인 악성신생물(암) : 2023년 166.7명, 2022년 162.7명 2순위 사망원인 심장 질환 : 2023년 64.8명, 2022년 65.8명 3순위 사망원인 폐렴 : 2023년 57.5명, 2022년 52.1명 4순위 사망원인 뇌혈관 질환 : 47.3명, 2022년 49.6명 5순위 사망원인 고의적 자해(자살) : 2023년 27.3명, 2022년 25.2명 6순위 사망원인 알츠하이머병 : 2023년 21.7명, 2022년 22.7명 7순위 사망원인 당뇨병 : 2023년 21.6명, 2022년 21.8명 8순위 사망원인 고혈압성 질환 : 2023년 15.6명, 2022년 15.1명 9순위 사망원인 간질환 : 2023년 15.3명, 2022년 14.7명 10순위 사망원인 코로나19 : 2023년 14.6명, 2022년 61.0명 3/8 [2021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2. 나도 이미 고혈압 환자? 만 19세 이상 유병률 28.1%(전단계 24.4%), 인지율 71.2%, 치료율 66.9%, 조절률(유병자 기준) 50.4% 국민(만 19세 이상)의 3명 중 1명은 고혈압 환자 고혈압 환자 3명 중 1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음 고혈압 환자 10명 중 3명은 자신이 고혈압 환자라는 것을 모름 고혈압 환자 2명 중 1명은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고 있음 4/8 [2021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3. 나도 이미 당뇨병 환자? 만 19세 이상 유병률 13.6%(전단계 41.3%), 인지율 66.6%, 치료율 62.4%, 조절률(유병자 기준) 24.2% 국민(만 19세 이상)의 7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당뇨병 환자라는 것을 모름 당뇨병 환자 3명중 1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음 당뇨병 환자 4명 중 3명은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고 있음 5/8 [2021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4. 나도 이미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만 19세 이상 유병률 25.4%, 인지율 63.4%, 치료율 56.1%, 조절률(유병자 기준) 49.0% 국민(만 19세 이상)의 4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라는 것을 모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5명 중 2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음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2명 중1명은 콜레스테롤이 잘 조절되지 않고 있음 6/8 [2021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5. 2040세대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만 19세 이상 유병자의 평균인지율은 60~70% 수준이나 20대~40대의 인지율은 이보다 낮습니다. 고혈압 : 만 19세 이상 71.2%, 20대 19.3%, 30대 24.8%, 40대 50.7% 당뇨병 : 만 19세 이상 66.6%, 20대 22.1%, 30대 43.1%, 40대 53.3% 고콜레스테롤혈증 : 만 19세 이상 63.4%, 20대 10.5%, 30대 14.5%, 40대 45.0% *(고혈압 인지율) 고혈압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분율 (당뇨병 인지율) 당뇨병 유병자(공복혈당 또는 당화혈색소 기준)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고콜레스테롤혈증 진단을 받은 분율 7/8 건강한 혈관을 위해, 정기적으로 확인해요! 정상 혈압 : 수축기 120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 정상 혈당 :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정상 콜레스테롤 : 총 콜레스테롤 200mg/dL미만 8/8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술은 가급적 마시지 않습니다. - 적당량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골고루, 짜지 않게 먹고, - 통곡물, 채소, 콩,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 규칙적으로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고 오래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을 줄입니다. - 적정한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합니다. -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약물치료 등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꾸준히 받습니다. - 뇌졸중, 심근경색의 응급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를 부릅니다.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알림정보>건강교육자료실>자료실검색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를위한 9대 생활수칙'검색] *뇌졸중 조기증상: 한쪽마비, 갑작스러운 언어장애, 갑작스러운 시야장애,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심근경색 초기증상 : 갑작스러운 가슴통증, 식은땀·구토·현기증, 호흡곤란, 통증확산
|
|||||
| 다음 | |
|---|---|
| 이전 |